하드웨어

Yeo Myung Ro·2022년 9월 11일
0

Network

목록 보기
4/4

그림으로 이해하는 네트워크 용어 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NIC

  • Network Interface Card
  •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확장 카드
    • 다른 말로 LAN 보드, LAN 카드, LAN 어댑터라고 부르기도 함
  •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이며 물리적인 네트워크와의 접점
  •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케이블에서는 단순한 전기 신호이지만, NIC를 통해 해석할 수 있는 통신 데이터로 컴퓨터에 전송됨

LAN 케이블

  • 네트워크의 각 노드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케이블
  • 사용하는 네트워크 규격에 따라 종류가 다양함

리피터

  • OSI 참조 모델 1계층(물리 계층)의 중계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 케이블이 길어지면 그 안에 흐르는 전기 신호가 감쇠하는데, 리피터는 이렇게 감소한 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함으로써 LAN의 총 연장거리를 늘릴 수 있는 중계기임
  • 단순하게 입력된 파형을 그대로 증폭하여 송출하기 때문에 중계할 필요가 없는 에러 패킷 같은 것도 중계되어 불필요한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필요 이상으로 전송되므로 효율 면에서는 좋지 않음
  • 리피터를 여러 개 묶어서 멀티 포트로 사용하는 것을 허브라고 함

브리지

  • OSI 참조 모델 2계층(데이터 링크 계층)의 중계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 서로 다른 세그먼트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
    • 세그먼트란 네트워크 상의 단일 기기로부터 송출된 패킷이 무조건 도달할 수 있는 범위
  • 수신된 패킷을 검사하여 발신지와 수신지의 물리 주소(MAC 주소)를 기억
  • 이를 바탕으로 주소 테이블을 작성하여 이후에 중계되는 세그먼트 중 어디에 수신지 주소가 있는지 파악
  • 브리지를 여러 개 묶어서 멀티 포트화한 것을 스위칭 허브라고 함

라우터

  • OSI 참조 모델 3계층(네트워크 계층)의 중계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사용
  • 네트워크 프로토콜 수준에서 경로 정보(라우팅 테이블)를 관리
    • 이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지의 네트워크로 통신 데이터를 중계

허브

  • 여러 개의 LAN 케이블을 연결하는 접선 장치
  • 허브의 포트 수가 그 허브에 연결할 수 있는 컴퓨터의 수
  • 가장 간단한 허브는 내부적으로 리피터를 여러 개 묶은 것으로 리피터와 같은 제약이 있으며, 멀티 포트 리피터/리피터 허브라고 부르기도 함
  • 1000BASE-T는 규격상 이러한 형식의 허브가 아니라 전부 스위칭 허브를 사용

스위칭 허브

  • 스위칭 기능을 가진 허브로, 일반적인 허브와 마찬가지로 여러 개의 LAN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접선 장치
  • 스위칭 기능은 허브가 가진 여러 포트 중에 실제로 통신이 발생한 포트만 연결하여 다른 포트에는 불필요한 패킷을 전송하지 않도록 한 것
  • 수신 패킷을 모든 포트에 전송하는 리피터 허브와 달리 스위칭 허브는 실제로 통신을 실시하는 포트에만 패킷을 보냄

모뎀

  • 아날로그 회선을 사용하여 컴퓨터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변조 복조기
  • 전화 회선과 같이 음성 전송을 주로 하는 아날로그 회선에 신호를 보내려면 디지털(0, 1)에서 아날로그로 변환해야 하고, 이렇게 변환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때는 반대로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변환해야 함
  • 디지털 → 아날로그의 변환을 변조(modulation), 아날로그 → 디지털의 변환을 복조(demodulation)이라 함

bps

  • bite per second, 초당 전송할 수 있는 비트의 수
  • 비트와 마찬가지로 컴퓨터의 데이터양을 나타내는 단위로 바이트가 자주 사용

게이트웨이

  • LAN과 외부 네트워크 같은 두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서로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기기나 시스템
  • OSI 참조 모델의 전체 계층을 인식하여 통신 매체나 전송 방식 등의 차이를 흡수하고 이기종 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함
  • 상대방의 네트워크에 맞는 규격으로 변환하여 서로 전송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게이트웨이의 특징
  • 단순히 게이트웨이라고 하면 라우터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에는 LAN에서 외부 컴퓨터에 액세스할 때의 출입구라는 의미를 가짐
    • 이 때 표준으로 사용되는 게이트웨이를 디폴트 게이트웨이라고 하며, LAN 밖으로 송신되는 패킷은 일단 이 디폴트 게이트웨이로 전송된 후에 외부 네트워크로 전송됨

콜리전

  •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가 동시에 패킷을 전송하면서 발생하는 충돌
  • 이더넷처럼 CSMA/CD 방식의 네트워크에서는 통신 경로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현재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
  • 확인 후 아무도 통신 경로에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때 패킷을 전송하지만, 확인에서 전송까지 시간 지연이 약간 있으므로 확인 작업을 마친 다른 컴퓨터에서 동시에 패킷이 전송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주소

  • NIC 별로 할당된 48비트의 고유 번호
    • MAC 주소의 앞자리 24비트는 제조사의 식별 번호
    • 뒷자리 24비트는 그 제조사가 자사 제품에 할당하는 고유 번호
  • 이더넷에서는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노드를 모두 식별할 수 있어야하므로 기기마다 고유 번호를 할당해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 이 둘을 조합한 번호는 개별 NIC에 할당된 MAC 주소가 전 세계에서 단 하나뿌이며 절대 중복되지 않는 값을 할당했다는 것을 보장
  • OSI 참조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브리지와 스위칭 허브는 이 MAC 주소를 기반으로 노드를 식별하고 패킷을 중계
  • MAC 주소는 물리적으로 정의된 주소로 사용자가 변경할 수 없음

QoS(Quality of Service)

  •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에서 통신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
  • IP 전화 같은 통화 서비스나 동영상의 배포 서비스 등에서는 실시간 전달이 중요한 서비스에 우선적으로 네트워크 대역을 확보해 주는 것으로 그 품질을 보증하는 기술
  • 이 기능은 주로 라우터 같은 네트워크 기기가 가지고 있음
    • 우선 제어 : 일반적으로 라우터는 도착한 순서로 패킷을 처리하지만, 우선 제어에서는 패킷을 사용하는 서비스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해 처리 순서를 바꿈
    • 대역 제어 : 라우터를 통과하는 패킷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대역을 확보하거나 제한하여 통신 품질을 유지

UPnP(Universal Plug and Play)

  • 플러그 앤 플레이의 개념을 네트워크까지 확장한 것
    • 플러그 앤 플레이 : 주변 장치를 컴퓨터에 연결할 때 구성이나 설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뜻함
  • 컴퓨터, 주변 기기, 가전 제품에 이르기까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제어하는 것이 목적인 규격
  • 이 규격이 지원하는 기기에서는 네트워크에 참가해 IP 주소를 취득하거나 자신이 가진 기능을 네트워크 상의 기기에 통보하는 것이 자동으로 수행

NAS(Network Attached Storage)

  •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외부 저장 장치
  • NAS에서 제공하는 저장 공간은 네트워크로 공유하면서 사용할 수 있음
profile
# data engineerin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