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config --global user.email "유저이메일" : 모든 로컬 저장소의 이메일 설정git config --global user.name "유저이름" : 모든 로컬 저장소의 사용자 설정git init : 해당 폴더에서 git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줌
git add app.txt : app.txt라는 파일을 staging area에 올려놈
git commit -m "message" : repository에 add한 file을 저장
git add app1.txt app2.txt : app1.txt, app2.txt 동시에 addgit add . : 현재 저장소에서 수정된 파일을 한 번에 올림git status : 현재 어떤 파일을 staging했는지 상태
git log --all --oneline : commit한 내역을 전부 출력
git diff : 바로 전 commit과 현재 코드의 차이점을 비교
git difftool : diff를 비주얼적으로 좋게 차이점 비교git difftool commit_ID : 최근 commit과 비교하는게 아니라 과거 특정 commit과 현재 파일 비교git branch 브랜치명 : 브랜치 생성
git switch 브랜치명 : 브랜치 이동
git merge 브랜치명 : 브랜치 합치기는 기준 브랜치 이동 후 코드 고치고 git add & git commit : 충돌 해결
git branch -d 브랜치명 : 브랜치 삭제
git init: 현재 폴더에서 git 사용 가능하도록 함(repository 생성)git branch -M main: 기본 branch이름을 main으로 변경(때에 따라 안해도 됨, master가 노예제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main으로 변경되었음) git add .git commit -m 'message'git push -u 저장소주소 main : 원격 저장소주소에 pushgit remote add 변수명 주소: 변수명에 주소가 할당됨(변수명은 origin 사용)3--way merge
fast-forward merge
rebase
squash & mer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