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나는 Windows11 사용자다. 오라클 제거 후 재설치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해 수많은 글과 영상을 참고하여 오류를 해결해보려 했으나 해결되지 않았고, 심지어 포맷 후에도 동일한 오라클 설치 오류가 발생했다 ...... 진짜 꿈인줄.. ❓ 그래서 어떻게 해결했나? 사실 이틀동안 여러번의 윈도우 포맷과 온갖 방법을 다 섞어서 진행했기...
💡 1개의 파일에서 Update 받아야 하는 라인과 내가 Commit해야 하는 라인이 동일할 때, 해당 파일에 빨간색 충돌 표시가 생기면서 그 밑에 알 수 없는 여러 파일이 생겨난다. 이런 상황에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해본다. 충돌 발생한 파일에서 커밋별 코
1. 톰캣 서버 우클릭 > Add and Remove 에서 remove 하기 2. 톰캣 서버 우클릭 > Clean 2번 클릭 3. 프로젝트 새로고침 4. Project > Clean 쿨락 5. 다시 서버 Add and Remove 에서 Add
🤔 문제 롬복 jar 파일 다운로드 후 실행하려는데 이 파일을 열 사용할 앱을 선택하세요 라는 오류가 뜨며 실행이 안된다. 💡 해결법 1. 윈도우 버튼 > cmd 실행 2. cd [jar파일이있는경로] 명령어를 통해 실행하려는 jar파일이 있는 경로로 이동
디버깅하려는데 오류가 발생했다. 처음 겪으면 꽤나 당혹스럽다. 하지만 당황하지 말고, 포기하지 말고, 침착하게 해결책을 찾아보자. 생각보다 아주 간단할 수 있다. (이것 또한 찾아보니 굉장히 간단했다!) 잊지 않기 위해 기록해보기 📝 ⚠️ 오류 내용
❓ 문제 위 화면에서 Next를 누르면 TCP Port가 이미 사용중이라며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는다. 💡 해결방법 Win + R 실행 > perfmon.exe /res 입력 리소스 모니터 > 네트워크 > 수신 대기 포트 > 포트번호가 3306인 포트의 PID
⚠️ 오류 내용 HeidiSQL 세션 관리자에서 신규 세션 생성 후 열기를 시도했을 때, Access denied for user '사용자이름'@'localhost' (using password: YES) 오류 발생 💡 해결 방법 cmd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my
⚠️ 오류 내용 모든 java 파일에 저렇게 맨 위의 package 쪽에 노란 줄이 생기면서 OOO.java is a non-project file, only syntax errors are reported 경고가 뜬다. Run Java를 실행하면 우측 하단에 아래
⚠️ 오류 > Jasypt의 Secret Key를 VM Options에 추가해놓은 게 Test 환경에서는 읽히지 않아 오류가 발생했다. 오류 내용 ✅ 해결 방법 Test 환경 변수에 자십트 비밀키 추가 💡 결과 정상적으로 테스트가 실행되었다! 를 사용했는데, 실제 응답은 201 CREATED가 아닌 200 OK가 반환되었다. 작성한 API 코드 SuccessResponse 클래스 ❓ 원인 Succes
⚠️ 오류 gRPC 의존성을 추가한 후 서버 실행 시 여러 오류가 발생했고, 실제로는 정상적으로 통과되는 테스트도 실패했다는 메시지가 출력되었다. 오류 내용 테스트 실패 내용 > 하지만 실패한다는 테스트는 실제로 실행해보면 성공하는 테스트였다. ❓ 원인 appl
⚠️ 문제 자원 서버의 application.yml에 client port를 50052로 설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서버를 실행할 때마다 콘솔에 gRPC 포트가 9090으로 표시되었다. 이로 인해 인증 서버와 자원 서버 간의 통신이 실패했다. 인증서버 비교) 인증서버는
⚠️ 문제 의존성을 모두 추가했음에도 불구하고 xml 파일에 Downloading external resources is disabled 오류가 발생했다. 📌 해결 방법 Window > Preferences > XML (Wild Web Developer) > D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