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를 불러오는 방법은 2가지 있다.1\. paramsparmas는 필수값으로 url을 보낼 때 꼭 넣어주어야 하는 값이다.url에 :id를 추가하면 request에 params에 id라는 속성이 추가 된다. 원하는 값을 :함꼐 넣어주면 된다. id값을 가지고 와서 메
express는 서버프로그램을 만등 때 사용하는 프레임 워크이다.express프로그램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능만을 제공한다. 이 뜻은 자유도가 높다는 것이다.서버에는 2가지 경우가 있다.웝페이지를 response에 담아서 보내주는 서버인 웹서버,요청을 처리하고 처리한 결
express로 동적 라우팅을 해보고자 한다.이름이 적힌 배열이 있고 이 배열에 이름들을 동적 라우팅을 해주고 한다.get메소드 첫 번째 url에 "users/:id"라는 url을 사용하면 :id부분이 동적 라우팅이 가능하다. "users/1"이라는 url을 넣어주면
express: node.js에서 실행될 서버 프로그램을 간편하게 만들 수 있게 해주는 프레임 워크npm으로 express로 설치해준다.require함수로 express를 불러오고 app이라는 상수에 담아준다.express의 get이라는 메소드를 통해서 첫 번쨰 인자로
회사에서 개발을 하던 중 요청을 받았다.요청의 내용은 이미지를 사용자가 다운 받지 못 하게 막는 것이다.우리가 보통 구글에서 이미지를 오른쪽 클릭 했을 이미지를 복사가 가능하다.하지만 우리 회사의 경우에는 회사에서 보여주는 이미지가 회사의 중요한 데이터이기 때문에 그것
node.js에 코어 모듈에 http라는 모듈이 있다.http라는 코어모듈을 통해서 http라는 통신규약으로 클라이언트와 통신하는 서버를 만들 수 있다.http.createServer() 메소드는 서버역할을 하는 객체 하나를 생성해준다.server.listen()은 서
라우팅이란 클라이언트에서 url주소에 따라 페이지가 전환되는 것이다.vue에서는 vue에서 제공하는 공식 플러그인 vue-router을 이용해서 쉽게 라우팅을 구현할 수 있다.위레 명령어를 통해서 vue-router을 설치를 하면 src폴더에 router라는 폴더가 생
vue.js에 대해서 관심이 생겨서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다.먼저, vue.js 프로젝트를 만드는 방법부터 공부를 시작하였다.먼저 vue프로젝트를 빠르게 구성하고 빌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vue cli를 전역으로 설치를 해준다.그리고 터미널에 다음 명령어를 치면 선택
Node.js에서의 이벤트란 어떤 일이 발생했을 알리는 신호이다.Events 코어 모듈은 EventEmitter라는 클래스를 공개하고 있다.EventEmitter 클래스가 있어야 이벤트 사용이 가능하다.EventEmitter는 단지 클래스 이기 때문에 객체로 만들어서
node.js에서 모듈은 총 3가지가 있다.내가 만든 모듈, node.js에 내장이 되어 있는 모듈, 다른 개발자들이 오픈 소스로 올려 놓은 모듈이다.오늘은 node.js에 내장 되어 있는 모듈과 다른 개발자들이 오픈 소스로 올려 놓은 모듈에 대해서 알아 보고자 한다.
실무에서 프론트를 하면서 백엔드와 소통하는 데 있어서 백엔드에 대한 지식도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백엔드에 대해서 공부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그래서 공부할 언어로 node.js를 선택했다!그 이유는 지금 내가 쓰고 있는 javascript를 사용하기
button 컴포넌트에 이어서 checkbox 컴포넌트도 만들어야 했다!그래서 처음에는 input태그에 checkbox 타입을 주어서 커스텀을 시도하였다!!하지만 결과는 실패.......구글링도 해보구 했지만 계속 실패하였다.....그래서 그냥 내가 직접 만들어 보기
회사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들어가면서 완전 초기셋팅부터 다시 시작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회사 동료 프론트엔드 개발자분과 서로 맡을 파트를 나누게 되었다! 그 중 공통 컴포넌트 부분에서 button 파트를 맡게 되었다!!!!button 공통 컴포넌트는 생각보다 쉽게 작
회사에 입사 후 처음 개발을 시작하기 위해서 git clone을 한 후에 npm install을 했다. 그런데.. 사진과 같은 에러가 발생을 했다 ㅠㅠ 그래서 원인이 무엇인지 찾아 보았다. npm 에러 같은 경우 위와 같은 3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나의 경우
이제 redux가 무엇인지 알봤으니 어떻게 사용하는지에서 알아보자.먼저, redux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에 설치를 해야한다.https://ko.redux.js.org/위 주소는 redux의 홈페이지이다.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바로 첫 화면에 시작하기라는
redux는 react의 상태관리 라이브러이다. 라이브러리라는 것은 엄밀히 말하면 필수는 아니라는 것이다. redux없이도 웹을 개발할 수 있다. 하지만 회사의 공고를 보면 redux를 사용할 수 있는 개발자를 많이 찾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개발에서 redux가 많
깃을 사용하기 전에는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그 이유는 깃을 통해서 새로운 버전을 만들때 마다 만든 사용자의 정보도 같이 저장이 되기 때문이다.깃의 사용자를 설정을 하려면 git config를 통해서 설정을 하고 --global이라는 옵션을 통해서 내 컴퓨터의
프론트엔드를 공부하고 취업을 준비하면서 깃과 깃허브에 대한 중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그래서 기초부터 다시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개발은 혼자도 할 수 있지만 회사에서는 다른 개발자들과 같이 개발하고 효율적으로 협업하기 위해서 git과 github를 쓰니 회사
selectbox 기업협업을 진행하면서 공통컴포넌트를 제작을 해야 했고 나는 selectbox를 만들어야 했다. 처음에는 select태그와 option태그를 커스텀하려고 했다 하지만 option태그가 커스텀이 되지 않았다...... 폭풍 구글링을 헸지만.... se
CI는 지속적 통합이라는 뜻이다. 개발을 진행하면서도 품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여러 명이 하나의 코드에 대해서 수정을 진행해도 지속적으로 통합하면서 관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CI가 나오기 전까지는 위와 같이 개발을 끝마치고 배포가 되어야만 코드에 오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