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는 사용자 정의 Tag라서 component를 만들어 복잡성을 낮추어준다. -Redux는 상태를 중앙에서 관리해주는 역할을 해 예측불가능을 알게해준다. _Root - AddNumberRoot - AddNumber DisplayNumberRoot
\-action발생, dispatch를 통해서 reducer실행된다. 그러면 state값이 update되는데 이 update된 state값을 변경해주는 방법1.action만들기action에는 필수적인 property인 type이 필요하다.(다른 속성은 유무 관계없음)(
\-예측가능한(복잡성 줄임)\-한곳에 데이터 집중\-상태변화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2)실행방법\-chrome redux도구(과거 현재 실행상태를 다 볼수있음)\-npm을 통해서 redux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고, redux cdn에 script태그로 되어있는
데이터를 추가하는 방법i) pushii) Array.from(a)iiii) Object.assign({}, a)react와 redux에서는 기존의 정보를 변화 시키지않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가 무엇을 만들려는지에 따라서 다르긴 하겠지만 기존의 정보는 유지한 상태에서 새
(1) state & props component의 내용울 props와 state로 사용자가 조정 할 수 있다. 그런데 props는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내용이고 state는 볼 수 없게 숨겨져 있는 실제 구현을 담당하는 코드이다. stat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값을
<react 특징>component 사용(tag정의)\-> 가독성/재사용성/유지보수 높아짐(1) npm installnpm install -g create-react-app npm-설치하는 프로그램(node js필요/ 여러 라이브러리들 사용가능/ 무료사용가능)np
●index.html앱이 실행될 때 가장 먼저 실행 되는 파일이다. ●css파일 import하는 방법import 'app.css'▲import asdf from './App'하고 해도 정상동작하는 이유App.js에서 구현부를 defalut export했기 때문에 이름에
HTMLdata-\~~ = "!!!"!!!라는 함수를 실행시키시오 라는 의미라서 !!!함수를 정의해 두고 해당 class가 실행되면 함수가 실행된다. actions의 매소드로 등록 <새로고침 시 처음으로 돌아가기>
※Intersection observer: 어떠한 요소가 눈에 보이는지 안보이는지 체크 가능(for문 줄이기 위해서 사용)-기능 多(참고: heropy.blog)\-> 관찰하는 대상들이 나타나거나 사라지는 그 시점마다 callback함수가 실행된다여기선 총 3개(위아래
select&mask 세부적인 작업시 필요한 툴 ex)고양이 털, 머리카락 따기! 배경이 단색일 때, 유용하게 사용 가능 배경 색과 딸려는 물체 색에 따라 select범위 색 변경 가능 단축키 > ctrl+alt+R=> 새로운 툴바로 이동 [ / ]를 통해서 크
path를 생성하는 tool/누끼?따주세요ctrl+빈곳직선: 꼭짓점지점 클릭곡선: 마우스로 드래그곡선방향 바꾸기: alt+방향선 클릭add anchor point, point추가 삭제 가능alt눌리면 곡선 방향,크기 조절 가능, 방향삭제 가능(-표시 될때)layer말고
alt+레이어 사이 경계 클릭사진을 원하는 크기대로 자르기글자위에 배경 입히기밑에 있는게 검은색이여야지 적용되는 기능이미지->adjustments->threshold->명암이 주어진 상태로 됨배 그림에 부다페스트 그림 넣기!!새로운 레이어에 배모양 그림을 검은색으로 둔
vscode 설치하기(code를 짜면서 terminal(=cmd)돌리기에 최적화 되어있음-자기가 원래 쓰던 editor이 있고 terminal 사용에 능숙하면 그거 이용해도 상관 없음)nodejs 설치하기(가장 최신버전깔기-버전이 맞지 않으면 설정시 오류가 날 수 있음
text tool bar를 이용하여서 글자를 적는다=>드래그 한 후 적기, 바로 적기1)Horizontal-수평으로 텍스트2)Vertical-수직으로 텍스트3)Vertical type mask-수직으로4)Horizontla type mask-수평으로 글자 드래그를 한
색 지정후, 빈공간 클릭(단, 경계선 존재 할때만 가능)\-색바꾸기= 왼쪽 위에 그라데이션 클릭->밑에 네모칸으로 기본 색 지정, 위 네모칸으로 범위지정\-마우스로 \-ctrl+t+우클릭(밑에 두개)\-ctrl+t->ctrl+shift(누른채로)->마우스로 조정(왜곡)
1장 resolution(해상도 설정) = 300(프린트)/ 72(웹,앱) rgb칼라(섞일수록 명도 높)-프린트/cmi칼라(섞을수록 명도 낮)-웹상 저장-ctrl+s 새로만들기-ctrl+n 사진 불러오기-ctrl+o 레이어 새로만들기-ctrl+shift+n 창닫기-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