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c++로 알고리즘을 풀이하다가 웹 프론트엔드만 주구장창 하다보니 Javascript가 익숙해서 알고리즘 언어를 바꿨다..
c++로 BFS, DFS 처음 이해 할 때 복잡했었는데 Javascript로 BFS, DFS를 구현해보니 훨씬 쉽다.
출처: https://saegeullee.github.io/algorithm/bfs-dfs 에서 그림만 가져왔다.
const graph = {
A: ['B', 'C'],
B: ['A', 'D'],
C: ['A', 'G', 'H', 'I'],
D: ['B', 'E', 'F'],
E: ['D'],
F: ['D'],
G: ['C'],
H: ['C'],
I: ['C', 'J'],
J: ['I']
};
const graph = {
A: ["B", "C"],
B: ["A", "D"],
C: ["A", "G", "H", "I"],
D: ["B", "E", "F"],
E: ["D"],
F: ["D"],
G: ["C"],
H: ["C"],
I: ["C", "J"],
J: ["I"]
};
const BFS = (graph, startNode) => {
const visited = []; // 탐색을 마친 노드들
let needVisit = []; // 탐색해야할 노드들
needVisit.push(startNode); // 노드 탐색 시작
while (needVisit.length !== 0) { // 탐색해야할 노드가 남아있다면
const node = needVisit.shift(); // queue이기 때문에 선입선출, shift()를 사용한다.
if (!visited.includes(node)) { // 해당 노드가 탐색된 적 없다면
visited.push(node);
needVisit = [...needVisit, ...graph[node]];
}
}
return visited;
};
console.log(BFS(graph, "A"));
// ["A", "B", "C", "D", "G", "H", "I", "E", "F", "J"]
const graph = {
A: ["B", "C"],
B: ["A", "D"],
C: ["A", "G", "H", "I"],
D: ["B", "E", "F"],
E: ["D"],
F: ["D"],
G: ["C"],
H: ["C"],
I: ["C", "J"],
J: ["I"]
};
const DFS = (graph, startNode) => {
const visited = []; // 탐색을 마친 노드들
let needVisit = []; // 탐색해야할 노드들
needVisit.push(startNode); // 노드 탐색 시작
while (needVisit.length !== 0) { // 탐색해야할 노드가 남아있다면
const node = needVisit.shift(); // queue이기 때문에 선입선출, shift()를 사용한다.
if (!visited.includes(node)) { // 해당 노드가 탐색된 적 없다면
visited.push(node);
needVisit = [...graph[node], ...needVisit];
}
}
return visited;
};
console.log(DFS(graph, "A"));
// ["A", "B", "D", "E", "F", "C", "G", "H", "I", "J"]
DFS와 BFS는 노드 수 + 간선 수
만큼의 복잡도를 지닌다. 즉, O(n)
보통 DFS가 스택 BFS가 큐로 구현하지 않나요??
마지막 부분이 제가 생각한거랑 달라서 작성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