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이진법의 숫자 BInary digiT 의 줄임말): 정보의 최소 단위로 0,1을 다룬다.
바이트: 8비트의 한 묶음
1비트만으로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나타낼 수 없기때문에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 작업을 한다.
비트자릿수가 올라갈때마다 그 비트가 표현할 수 있는 숫자수는 2의 제곱순으로 올라간다.
1비트: 2 x 1
2비트: 2 x 2
3비트: 2 x 2 x 2
4비트: 2 x 2 x 2 x 2
5비트: 2 x 2 x 2 x 2 x 2
6비트: 2 x 2 x 2 x 2 x 2 x 2
7비트: 2 x 2 x 2 x 2 x 2 x 2 x 2
8비트: 2 x 2 x 2 x 2 x 2 x 2 x 2 x 2
-> 1바이트는 2의 8제곱인 256 종류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컴퓨터는 사람이 계산하는 방식과 다른 원리로 계산을 한다.
이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진수’라는 개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진수란? → 진법으로 나타내어진 수
n진법이란? → 0부터 n개의 숫자를 사용해서 수를 표현하는 방법
2진법: 0~1까지 2개의 숫자를 사용하여 수를 표현
8진법: 0~7까지 8개의 숫자를 사용하여 수를 표현
16진법 0~9까지의 10개의 숫자 + 남는 자리는 A~F까지 6개의 문자를 사용해서 수를 표현
표현할 수 있는 숫자 2개 : 0,1
0~1까지 2개의 숫자를 세다가 더 이상 표현할 수 없을때 자릿수를 1씩 증가시키며 다음 수를 표현한다.
표현할 수 있는 숫자 8개 : 0,1,2,3,4,5,6,7
표현할 수 있는 숫자+문자 16개 : 0,1,2,3,4,5,6,7,8,9,A,B,C,D,E,F
각 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는 변환법이 있으나 진수변환기, 진수표에 검색해서 쉽게 찾을 수 있어서 크게 필요하지는 않다. 원리파악 정도만 해두기 (몫, 나누기 ,,)
8진수, 16진수가 중요한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