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려면, 매번 새로운 변수를 반복해서 선언하기는 어려울 것, 한번에 선언할 수 없을까? -> 배열!
배열은 순서가 있는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배열은 index를 통해 각각의 요소들을 불러오거나 비교, 확인할 수 있다
배열로 할 수 있는 것?
-길이 .length
-요소 추가 (맨끝) .push() (맨앞) .unshift()
-요소 삭제 (맨끝) .pop() (맨앞) .shift()
*메소드 사용할 때, 불변성(immutablity)에 대해 확인! - 원본 배열을 변경하는가 아닌가, 여부를 잘 생각해야
배열과 반복문 조합해서 많이 쓴다
-Array.isArray(배열): 불리언타입 반환
-요소 추가 및 삭제: pop,push,shift,unshift,...
-요소 포함 여부 확인: indexOf(), includes() -둘의 차이점!
-배열(순서), 객체(의미) 언제 쓸건지 잘 구분할 줄 알아야!
-객체 사용법 2가지
-추가 name.key = value; or name['key'] = value;
-삭제 delete
-키값이 있는지 없는지 여부: in연산자
빈 배열인지 확인할때, [] === [] //false
잘 생각
메소드의 불변성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