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KAD 후기

문학적인유사성·2024년 2월 19일
0

Certification

목록 보기
14/16

작년에 할인 기간에 샀었는데 2년으로 줄어든다고해서 이번 기회에 쳐버렸다.


후기

아침 9시에 시험을 쳤다. 저번과 다르게 인터넷이 한번도 끊어지지 않았다. 시험환경이 너무 좋아서 이번에는 시간도 많이 남아서 문제 확인도 하고 미리 끝냈다. ㅋㅋㅋㅋㅋ
cka때는 yaml작성도 힘들었는데 ckad는 그냥 매우 편안한 환경이였음 ㅠㅠ
Mac m1 13'에어로 시험을 쳤고, 화면이 작아도 문제푸는데 지장은 없어서 나는 괜찮았다.
( 작은 화면을 힘들어 하시는 분은 비추천한다. )


공부 순서

  1. CKA 시험 치기…
  2. 다른 사람 CKAD 후기글 보면서 범위나 공부 내용 확인
  1. CKAD 범위 확인
  2. CKAD 뭄샤드 udemy 강의 수강
  • CKA와 동일한 부분 전부다 스킵, 핸즈온 중점으로 확인
  • 실제 공부한 시간은 cka를 쳐서 그런지, 뭄샤드 강의 ckad 강의에서 겹치는 부분은 전부다 넘기고 새로운 범위만 봤다. 3일정도 공부한 것같다.
  • CKA를 치고, CKAD를 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뭄샤드ckad강의에서 cka에서 안본 부분, lighting lab, mock up exam 정도 보고 간 것 같다.

Cka에서도 killer set문제와 겹치는 것이 없었다보니, ckad도 killer set은 시간도 없어서 그냥 넘겨버렸다. 환경에 익숙해지려고 보는 정도로 넘어가시길~!


시험 문제

16문제가 나왔다. 2문제는 기억이 나지않는다..;;

  1. Netpolicy, deploy, pod 수정 없이 적용하기, labels 붙혀줌
  2. Deploy rolling update 수정, set image로 이미지 변경, rollout 으로 다시 돌리기
  3. secret생성후 pod에 env로 넣기
  4. Cronjob 생성
  • Keep fail 4가 어떻게하는지 몰라서, 해당 설정을 못했는데, 틀린 것같다.
  1. pod에 serviceaccount 붙히기
  2. deploy에 serviceaccount 붙히기
  3. Docker build후 , save -o로 tar파일로 저장하기
  4. Readiness probe 설정
  5. Request, limit 설정
  6. 해당 namespace의 limit range보고 request, limit 설정
  7. 예전 deployment.yaml를 1.28버전 deployment.yaml로 변경하기 apiversion변경하면서 조금 변경해줬다
  8. deployment 1개 더 만들어서 기존 서비스에 카나리처럼 붙혀주는거
  9. Ingress 수정하기 service명이 다르길래 변경해줌
  10. Pod security context, uid설정, 권한 승격 불가 설정


다음은 istio딥다이브나 CICD 딥다이브와 sqlp공부나 해볼까 싶다~
깃허브 데브옵스 가속화 책도 읽고... !
확실히 DB, LM, CICD 이쪽이 정말 재미있는거 같다. 재밌는거 찾아서 도장깨기 하러다니고 싶은데, 시간이 너무 모자라다...

private llm 올리는것도 재미있어 보이던데, 왜이렇게 재미있어 보이는게 많을까 ㅋㅋㅋㅋ

오늘은 기분이 좋으니, 팔로미노 연필 한다스를 사겠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