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에 빠지지 않는 개념인 '의존성 주입'의존성 이라는 것은 하나의 객체가 다른 객체없이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흔히 A 객체가 B객체 없이 동작이 불가능한 상황을 'A가 B에 의존적이다' 라고 표현한다.주입 은 말 그대로 외부에서 '밀어 넣
스프링 MVC의 기본 구조를 표현한 그림이다사용자의 Request은 Front-Controller인 DispatcherServlet을 통해서 처리한다. 생성된 프로젝트의 web.xml을 보면 아래와 같이 모든 Request를 DispatcherServlet이 받도록 처
JUnit5로 테스트코드를 작성하면서 생성자를 통해서 DI하는 것, lombok을 이용한 DI도 에러가 발생했다.그런데 왜 lombok을 이용한 @Setter(onMethod\_ = {@Autowired}) 수정자 주입방식만 잘 되는걸까.. 도저히 알다가도 모르겠다 ㅠ
Spring Framework 를 이용한 웹을 만드는 경우에 등록, 수정, 삭제 작업은 처리가 완료된 후 다시 동일한 내용을 전송할 수 없도록 브라우저의 URL을 이동하는 방식인 Redirect를 이용한다.이 때 Redirect 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에 ad
우선 bno가 pk로 설정된 tbl_board라는 테이블을 만든 후, 재귀 복사를 통해서 데이터 개수를 늘리자(반복해서 여러 번 실행)반복해서 약 300만건 정도의 데이터를 삽입했다.반복된 select문 실행으로 인하여 시간이 줄었지만 그래도 4초대가 나온다.(첫 실행
웹페이지에서 매번 파라미터를 유지하는 일이 번거로울 때 UriComponentsBuilder라는 클래스를 이용하면 편리하다.여러 개의 파라미터들을 연결해서 URL의 형태로 만들어준다.. URL을 만들어주면 리다이렉트를 하거나 form 태그를 사용하는 상황을 많이 줄여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이다.하나의 URI가 하나의 고유한 리소스를 대표하도록 하는 설계 개념과 전송 방식을 결합하여 원하는 작업을 지정한다는 뜻이다.REST 방식에서 가장 먼저 기억해야 하는 점은 서버에서 전송하는
Ajax를 이용하는 경우에 jQuery의 함수를 이용해서 쉽게 처리할 수 있지만, 어느 순간 이벤트 처리와 DOM 처리, Ajax 등이 복잡하게 섞여서 유지보수 하기 힘든 코드를 만드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를 대비해서 좀 더 JavaScript를 하나의 모듈처럼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