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는 결과 값은 50이 나와야 하지만 input 뒤의 값들은 문자열 형태로 나오기 때문에 2030의 값이 나온다.그러면 어떻게 해야할까?입력에서 받은 값을 숫자형으로 나타내 줘야하기 때문에 int 정수형을 선언해서 더하기 연산을 진행 > 만약 실수형을 계산해야한다면
이번에는 참과 거짓을 이용한 논리 연산자 이용 공부다.정수의 객체와 실수의 객체가 서로 다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id 함수를 사용한다.id 함수는 객체의 메모리 주소를 출력하는걸 확인할 수 있다.is와 is not은 객체를 비교할 때 사용하고 연산자와 is, is n
리스트는 배열이며 각각의 값들을 요소(Element)라고 한다.리스트에는 문자열, 정수, 실수, 불 등 모든 자료형을 저장할 수 있다.비어있는 리스트를 만들려면 빈 값을 저장하거나 list함수를 사용하면 된다.range 함수를 이용하여 리스트를 사용하는데 익숙해져보자r
시퀀스는 우리가 사용했던 리스트, 튜플, range, 문자열 처럼 값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는 자료형을 시퀀스 자료형이라고 한다.시퀀스 자료형은 공통된 동작과 기능을 제공한다.in을 사용하면 시퀀스 객체 안에 특정한 값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in연산자 앞에 not을
슬라이스는 \[] 안에 :를 기준으로 시작 인덱스와 끝 인덱스를 지정하여 가져올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할 점은 가려오려는 인덱스보다 1을 더 크기 지정해줘야 한다.출처 : https://dojang.io/mod/page/view.php?id=2208슬라이
조건문은 특정 조건일 때 코드를 실행하는 문법이다.if 조건식: 코드조건문은 아래와 같이 사용이 되는데 코드를 입력할 때 들여쓰기를 해야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조건문을 사용할 때 한가지 더 주의해야 할 점은 =은 할당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을 사용해 주어야 한다.
for 반복문 뒤에 리스트를 지정하면 된다.for 반복문으로 요소를 출력할 때 인덱스도 같이 출력할 수 있다.파이썬의 리스트가 특이한 것은 리스트 안에서 for 반복문과 if 조건문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식으로 리스트 안에 for 반복문과 if 조건문을 지
2차원 리스트는 리스트 안에 리스트를 넣어서 만들 수 있고, 안쪽의 각 리스트는 콤마로 구분한다.2차원 리스트의 요소에 접근하거나 값을 할당할 때에는 를 두번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안의 \[]안에 세로 인덱스와 가로 인덱스를 지정해주면 된다.2차원 배열을 알아보기 쉽
3차원 리스트 -> 높이 2, 세로 크기 4, 가로 크기 3인 3차원 리스트 만들기우선 첫 번째로 높이 2를 리스트 표현식을 이용하여 생성해준다.이후 높이 2의 로 생성된 리스트에 세로의 크기가 4인 리스트를 생성해 준 이후 가로의 크기가 3인 리스트를 생성하여 3차원
replace를 이용해 문자열 안의 문자열을 다른 문자열로 바꿔줄 수 있다. 이 때 문자열 자체를 변경하지는 않는다.translate는 문자열 안의 문자를 다른 문자로 변경해준다. a = 1 e =2 i = 3 o = 4 u = 5 로 변경되어 출력되는 것을 확인 할
클래스는 틀이라고 비유할 수 있다. 똑같은 무엇을 계속 만들어 내는 것 즉 붕어빵 틀이라 생각하면 편할 것 같다.인스턴스는 클래스에 의해 만들어지는 객체를 말하는 것으로 붕어빵이 될 수 있겠다.출처: https://kingnamji.tistory.com/6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