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 world!'.replace('world','python')
'Hello, python!'
replace를 이용해 문자열 안의 문자열을 다른 문자열로 바꿔줄 수 있다. 이 때 문자열 자체를 변경하지는 않는다.
s = 'Hello, world!'
s = s.replace('world','python')
print(s)
'Hello, python!'
table = str.maketrans('aeiou','12345')
'apple'.translate(table)
`1ppl2'
table = str.maketrans('aeiou','12345')
'aeiou'.translate(table)
`12345'
translate는 문자열 안의 문자를 다른 문자로 변경해준다. a = 1 e =2 i = 3 o = 4 u = 5 로 변경되어 출력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apple pear grape pineapple orange'.split()
['apple', 'pear', 'grape', 'pineapple', 'orange']
split()은 공백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분리하여 리스트로 반환해준다.
' '.join(['apple', 'pear', 'grape', 'pineapple', 'orange'])
'apple pear grape pineapple orange'
join은 문자열 리스트를 연결하여 문자열로 만들어준다. ' ' 안의 공백을 통해 연결할 때 공백이 들어가도록 만든다.
'python'.upper()
'PYTHON'
upper()는 소문자를 대문자로 변경해주며 대문자가 안에 있을 시 그대로 유지된다.
'PYTHON'.lower()
'python'
lower()는 대문자를 소문자로 변경해주며 소문자가 안에 있을 시 그대로 유지된다.
' Python '.rstrip() # 오른쪽 공백을 삭제
' Python '.lstrip() # 왼쪽 공백을 삭제
' Python '.strip() # 양쪽 공백을 삭제
strip()은 공백을 삭제하며 l을 붙일경우 왼쪽 공백을, r을 붙일경우 오른쪽 공백을 삭제해준다.
'python'.ljust(10)
'python '
'python'.rjust(10)
' python'
'python'.center(10)
' python '
ljust(10) 길이 10을 기준으로 왼쪽 정렬을 한다.
rjust(10) 길이 10을 기준으로 오른쪽 정렬을 한다.
center(10) 길이 10을 기준으로 가운데 정렬을 한다.
'35'.zfill(4)
'0035'
'3.5'.zfill(6)
'0003.5'
zfill(4) 지정된 길이 4에 맞춰 부족한 공간을 왼쪽부터 0으로 채운다.
zfill(6) 지정된 길이 6에 맞춰 부족한 공간을 왼쪽부터 6으로 채운다.
'apple pineapple'.find('p')
1
find('p')는 p 문자열을 찾아서 인덱스를 반환해 주는데 왼쪽으로 부터 탐색을 시작해 처음 찾은 문자열의 인덱스를 반환한다.
rfind('p')는 오른쪽부터 탐색을 시작해 처음 찾은 문자열의 인덱스를 반환한다.
'apple pineapple'.count('p')
5
count('p')는 문자열에서 p 문자열이 몇 번 나오는지 찾아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