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RNR·2022년 11월 3일
0

SQL

목록 보기
12/17

모델링의 특징

추상화

(=모형화, 가설적)
현실세계를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표현.
다양한 현상을 일정한 양식인 표기법에 의해 표현

단순화

복잡한 현실세계를 제한된 표기법이나 언어로 표현

명확화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대상에 대한 애매모호함을 제거, 정확하게 현상 기술.

데이터 모델링의 유의점

중복

데이터베이스가 여러 장소에 같은 정보를 저장하지 않도록 한다.

비유연성

데이터 정의를 데이터의 사용 프로세스와 분리, 데이터 혹은 프로세스의 작은 변화가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베이스에 중대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인다.

비일관성

데이터의 중복이 없더라도 발생할 수 있다. 데이터 모델링을 할 때 데이터와 데이터간 상호 연관 관계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다.

개념-논리-물리 데이터 모델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Conceptual Data Modeling)

  1. 사용자와 시스템 개발자가 데이터 요구 사항을 발견하는 것 지원.
    = 개념적 데이터 모델은 추상적이다.
  2. 현 시스템이 어떻게 변형되어야 하는가를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Logical Data Modeling)

데이터베이스 설계 프로세스의 Input으로써 비즈니스 정보의 논리적인 구조와 규칙을 명확하게 표현하는 기법 또는 과정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Physical Data Modeling)

논리 데이터 모델이 데이터 저장소로서 어떻게 컴퓨터 하드웨어에 표현될 것인가를 다룬다.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컴퓨터에 어떻게 저장될 것인가에 대한 정의를 물리적 스키마라고 한다

profile
개인적 공부 기록. 그때그때 메모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