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7 DEEP/정리] 직무 역량 자소서 문항, 이렇게 접근하세요(feat. 키워드 검색법)

se_niii·2024년 2월 1일
0

면접

목록 보기
24/38

☑️ 직무 역량 자소서 문항

  • 지원하는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귀하가 가지고 있는 강점에 대해 기술하시오
  • 본인이 보유한 직무 역량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 지원하는 업무 선택 계기와 이를 준비해 온 과정
  • 지원하는 직무에서 발휘할 수 있는 강점과 약점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 이러한 문항이 어려운 이유?

1. 이 직무가 정확히 뭘하는지 모름

: 어떠한 일을 하는지는 알지만, 문제는 막연하게 안다!😂 -> 우리는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 채용 홈페이지 직무 소개란 확인하기
    ex) CJ 제일제당 식품 마케팅에 지원한다면 ...
    1. 구글에 'CJ 직무소개' 검색 후 들어가기
    2. '식품 마케팅' 찾아서 들어가기
    3. 안에 정보 겁나 많음! 읽으면서 눈에 띄는 키워드 하나 선택하기
      ex) 마켓 센싱 + 시대가 원하는 제품(마켓 센싱 설명 하위에 나와 있는 키워드)
    4. 이 키워드(마켓 센싱)으로 문장 만들기
      • 이러한 키워드들을 나의 입맛대로 약간 바꿔서 기술하면 직무역량 해결!
        ex) '마케팅 직무는 아직 시장에 없지만 소비자가 원하는 바를 트렌드 내에서 읽을 수 있는 마켓 센싱과 이 소비자의 욕구를 빠르게 상품화 시킬 수 있는 기획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 BUT, 모든 기업이 친절하게 직무에 대해서 소개하지 않는다. 그럴 땐 ?

: 내가 만약 OO기업 식품유통영업에 지원하고 싶은데, 이 기업직무 소개나 설명이 하나도 없다면 ...

  • 이 기업에 너무 집착하지 말기! 이럴 때는 차선책으로 업계에 맞춰서 검색해보기
  1. 구글에 '식품영업전략', '식품영업직무', '식품 영업 하는 일'등으로 검색하기
    • ⛔️ 문제점) 쓸 데 없는 정보가 너무 많이 나옴. 오히려 혼란스러워서 시간 낭비할 수 있음
      -> 그래서 좀 더 자세한 정보들을 핵심적으로 얻고 싶다면, 2번 방법 사용

  2. '식품 영업 전략 수립', '식품 영업 프로세스', '식품 영업 하루 일과', '식품 영업 목표', '식품 영업 핵심지표'등으로 검색하기
    • 1번 보다는 훨씬 더 자세한 정보들이 나온다. 이 정보들을 바탕으로 해당 직무가 하는 일 파악하기

  3. 발견한 키워드를 활용하여 다시 검색하기
    • 1~2번 방법으로 얻은 정보를 보다보면 다소 생소하거나 왠지 핵심적으로 보이는 키워드들이 발견된다.
    • ex) '식품 영업 전략 수립'을 검색해봤더니 -> '발주', '앤드 매대' 등의 단어가 나옴 -> 이 단어들을 한번 넣어서 검색을 다시 시도해보기 ex) 식품 영업 발주, 발주 프로세스, 식품 영업 앤드 매대 -> 훨씬 더 양질의 직무 내용들이 나온다.



2. 직무 역량만 보면 복붙하는 습관이 있음

  • 내가 작성한 자소서를 보면 똑같이 발견되는 키워드들이 조금 많다 -> 즉, 대부분 직무 역량으로 쓰는 키워드가 거의 다 똑같다.
    ex)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려는 관찰력, 분석력, 기획력, 유관 부서와 소통할 수 있는 소통력, 고객과 소통할 수 있는 소통력
  • 우리는 이러한 키워드를 잡아서 기술적인 역량에 대해 주로 기술한다. 하지만 스펙트럼을 좀 더 넓게 봐도 좋다!

📝 3가지 관점으로 나눠지는 직무 역량

  1. 지식
    • 자격증, 이수 과목(주력 과목), 전공, 다룰 수 있는 기기, 기기 활용 수준, 다루었던 실험 기기들 -> 이공계는 지식적 측면 강조하기 (전문성이 필요한 직군이니깐)⭐️⭐️
  1. 기술
    •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역량 키워드, 구체화해서 정의를 해보면 특정한 성과를 직무에서 재현할 수 있는 능력/역량이다.
  1. 태도
    • 긍정적 마인드, 끈기

  • 역량은 성과를 냈던 경험만 어필하는 게 아니다.
  • 내가 이러한 지식을 이 정도 수준까지 길러왔다는 것도 하나의 역량이 되고, 나의 차별점이 될 수 있다.
    • Ex) 반도체 엔지니어 직무
      '저는 2학년 때부터 반도체 공정에 집중해 과목을 들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지식을 다른 이들보다 훨씬 많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이 사람은 애초부터 반도체 엔지니어의 뜻을 두고 한 길만 쭉 파왔구나~ 이런식으로 직무에 대한 일관성을 파악할 수 있다.
    • ex) 온라인 MD 직무 -> 보통 '분석력', '기획력' 역량을 많이 작성한다. 하지만, 역량 키워드에만 집중할 필요가 없다.
      '온라인 MD 너무 하고 싶었다. 그래서 나는 일부러 온라인에서 물건도 팔아보고 기획도 해봤다.'
      : MD로 필요한 '분석력' 같은 역량만 기술하는 게 아니라 '온라인 채널의 특성'과 '온라인 고객들에 대한 이해도' 혹은 더 구체적으로는 '쇼핑몰 관리 시스템인 샤방넷 관련 지식들' 이런 지식적인 측면들도 하나의 강점으로 기술할 수 있다.

📌 계속 '분석력', '기획력' 이런 역량에만, 내가 냈던 성과에만 주목할 필요는 없다! 내가 가진 지식도 하나의 역량이다!
-> 내가 가지고 있는 직무에 대한 일관성, 목표의식을 쌓아오기 위해 어떤 식의 지식을 또는 어떤 방식으로 쌓아왔는지를 어필하면 된다.
+) 단, 직무와 연관없는 스펙이나 활동들은 적지 마세요.


💡 내가 가진 지식 점검하기

내가 쌓은 지식엔 뭐가 있을까?
전공 지식을 어떻게 살릴 수 있을까?
들었던 과목들의 공통점은 뭘까?

: 이런 점들을 생각하면서 내가 보유한 지식들을 점검해보자!

  • 그리고 이런 지식적인 측면들을 너무 많이 기술할 필요는 없다.
    : 짧게는 두세 문장, 길게는 네 문장 + 이 지식 수준을 활용해 성과를 냈던 경험 기술
  • 보통 직무 역량 문항 길게는 1000자 짧게는 500~600자
    == 지식 측면의 역량(150~200자) + 우리가 많이 쓰는 역량 키워드 하나 작성 + 그 역량을 발휘해서 성과를 내었던 경험들 작성하기
  • ⛔️ 하지만! 이 역량을 쓸 때도 매번 똑같은 역량을 쓰게 된다..

✨ 그럴 때, 새로운 키워드를 위한 관점 두 가지

1. 이 직무를 수행할 때 부딪힐 수 있는 어려움

  • 어려움 + 내가 가진 역량 + 경험 + (성과)
    • ex) 식품 영업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예상되는 어려움은 거래처의 선호제품을 선정하는 것과 점주에게 발주를 유도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 + 내가 가진 역량 + 경험 기술
    • ex) 홍보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부딪힐 수 있는 어려움은 기업 이미지에 관한 돌발 이슈를 통제하고 관리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 나는 이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역량이 있다.

2. 이 직무에서 이뤄야 하는 핵심 목표

  • 직무 핵심 목표 + (그 이유) + 강점 + 경험 + (성과)
    • ex) 기술 영엽의 핵심은 [목표는 전략적으로 세우고, 고객과 이해관계자 마음을 포섭]하는 데 있다고 생각합니다. 고객사별 프로젝트 규모를 파악하여 수주 가능성에 따라 영업전략을 구축하고, 생산 및 운송에 관계된 유관부서와 고객님의 마음을 얻어 이익율을 개선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 목표를 수행할 수 있는 ~ + 강점 기술 + 경험 기술 + 성과 기술

-> 이 두가지 관점을 만족시킬 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를 점검하고 작성하자.


3. 내가 쓴 내용을 보면 너무 재미가 없음

-> '노잼인 자소서 직무역량 문항 재밌게 바꾸는 5가지 방법' 영상 참고





영상 출처
직무 역량 자소서 문항, 이렇게 접근하세요(feat. 키워드 검색법)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