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픈형 질문에 어떻게 대처하지?
오픈형 질문이란?
경계조건이 없는 질문이다.
ex) 힘들었던 경험 이야기 해보실래요?, 최고의 성공 경험 이야기 해보시겠어요?
- 오픈형 질문에 대한 답변만 준비하는 경우가 있다. ❌
하지만, 베테랑 면접관은 오픈형 질문을 던지고 꼬리질문을 여러 번 하면서 그 답변을 평가한다.
- 오픈형 질문 이후에 받는 꼬리 질문에 어떻게 대응할지가 굉장히 중요하다. ⭐️
📝 면접관이 꼬리질문을 하는 3가지 방식
1. 질문을 좁혀준다.
ex) "그거 말고, 이 안에서 답변해주세요", "인간 관계 안에서 답변해주세요", "조직에서 했던 경험 안에서만 답변해주세요", "이 프로젝트에서 했던 경험 안에서만 답변해주세요"
- 질문한 의도와 맞지 않는 답변을 하거나, 답변이 너무 장황할 경우에 사용되는 방식이다.
-> 두괄식으로 답변해야 한다.
- '경험셀렉션'을 활용하자 : 어떤 질문에는 어떤 경험으로 답변할지 미리 매칭해보세요
2. 답변에 파고든다.
ex) "아까 이렇게 답변하셨는데, 그게 구체적으로 뭔가요?", "그래서 그걸 왜 하신건가요?", "언제 하신 건가요?", "그걸 어떻게 적용하신 건가요?"
- 답변의 진실성을 파악하고 싶다는 뜻이다.
-> 수치화된 결과 중심으로 답변해야 한다.
이 단계까지 왔다면, 일단은 필살기는 잘 던졌다고 생각하면 된다. 필살기 자체에 문제가 있어서 이런 꼬리 질문을 받는게 아니다. 그 안에 들어있는 근거들을 잘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 '3C4P'를 활용하자
3. 방향을 튼다
- ex) "우리 회사에서 그런 상황을 만나면 어떻게 하시겠어요?", "우리 회사도 똑같으면 나가실 건가요?", "예전에 이렇게 하셨는데 지금도 이러시겠네요?"
-> 답변 일관성을 체크하는 것이다
- 이 질문에 당황해서 다른 답변을 하면 안 된다.
- 면접 복기를 할 때 일관성이 깨졌는지를 확인해보자!
- 자소서에 쓴 내용과 면접에서 한 이야기가 다르진 않았는지 확인
- 자기소개와 압박질문에 대한 답변이 다르진 않았는지 확인
- 면접 초반에 했던 답변과 후반에 한 답변이 다르진 않았는지 확인
- 전체적인 맥락이 끊기진 않았는지 확인
🎥 추천 영상
질문의 의도를 풀이한 '면접관의 속마음' 시리즈 영상 참고
'면접관의 속마음' 재생 목록
출처 영상
면접 탈락 시그널을 피하는 3가지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