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심삼일의 분기점 3일차가 다가왔다. 오늘을 넘어서 꾸준히 가야할텐데 걱정이다.
심지어 내일 주말;;;
그리고 어제 발치한 사랑니 때문에 소독하러 병원 갔다와서 한 숨 자고 있었는데,
어머니한테 휴학신청 했냐고 전화가 왔다. 뭔가 긍정적인 신호인거 같다.
신난다! 휴학하고 부트캠프 가즈아~
일단 신나는 마음은 잠시 접어두고 오늘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자.
오늘은 2일차의 연장으로 자료형에서 다음과 같은 형태를 학습했다.
1. List(리스트) 자료형
2. tuple(튜플) 자료형
3. Dictionary(딕셔너리) 자료형
4. set(집합) 자료형
5. Bool(불) 자료형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자료형의 값을 저장하는 공간, 변수에 대해 학습하였다.
역시 공부한 내용과 코딩실습은 아이패드로 정리했다. 근데 아이패드로 정리하다 보니까 velog에서는 내가 뭐라고 적었는지 잘 안보이는 단점이 있는거 같다. 근데 어차피 velog는 기록용이고, 공부할 때는 아이패드 쓰니까 상관은 없을 거 같다.
👀 나 혼자 코딩문제 1
A = [1,2,3,4,5]
A[1:3]
위 코드를 실행하면 [2,3]으로 리스트가 슬라이싱 되고 정답과 일치. 출력은 아래와 같다.
A = [2,3]
👀 나 혼자 코딩문제 2
t1 = (1,2,3)
t2 = (4,)
t1+t2
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값이 출력된다.
out: (1,2,3,4)
위 code에서 굳이 변수로 설정하지 않고 (1,2,3)+(4,)로 하여도 같은 값이 출력된다.
👀 나 혼자 코딩문제 3
a = [1,2,3]
b = [1,2,3]
a is b
변수 a와 b는 서로 다른 메모리를 가리키므로 False
연습문제도 풀어보았다. 아직 함수들이 잘 기억나지 않아서 앞을 보면서 풀었다. 이거 명령어 외워서 쓰는 것도 일이겠다. 그래도 재미는 있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