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스프링 DI의 종류

Dev StoryTeller·2020년 12월 23일
0

Spring 시리즈!

목록 보기
4/33

0. 개요

앞서 만든 User와 Team은 의존관계에 있다.
User자신이 어느 팀에 속하는지 알아야하기 때문이다.

관계를 어떻게 코드로 정의할까?


1. @Autowired?

스프링은 @Autowired를 이용하여 자동 DI를 만들어낸다.
뜻 그대로 "의존성을 자동 연결"해준다는 것이다.

@Bean
class A {}

@Bean
class B {
   @Autowired
   private B b;
}

이 @Autowired의 원리에 대해선 구글링만해도 찾을 수 있다.
다만 간략히 말하자면, Bean으로 등록된 A 객체를 B 객체가 Bean으로 등록되기 전에 미리 값을 넣어주는 방식이다.

하지만 스프링 버전이 높아지면서, @Autowired가 점점 생략되는 추세이다.
(다음 편에서 부록으로 알아볼 것이다.)

그럼 @Autowired로 어떻게 DI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1. 필드 주입

우리가 흔히 쓰는 가장 직관적이며 간편한 방법이다.

class Team {
}

class User {
   @Autowired
   private Team team;
}

위와 같이 자신의 내부에 놓고 주입하는 방식을 말한다.
간편하지만 참조 관계를 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남발하게 되면 참조 관계가 꼬일 수 있으니 주의하자.


2. Setter 주입

이름 그대로 Setter 메소드를 통해 주입받는 방식이다.

class Team {
}

class User {
   private Team team;
   
   @Autowired
   public setTeam(Team team) {
      this.team = team;
   }
}

POJO가 기본적으로 가지는 setter를 이용한 주입 방법인데,
필자는 거의 써본 기억이 없다.

왠만한건 생성자 주입으로 해결되기 때문에 그런듯 하다.


3. 생성자 주입

말그대로 생성자로 주입하는 방식이다.

class Team {
}

class User {
   private final Team team;
   
   public User(Team team) {
      this.team = team;
   }
}

아마 무의식 중에 가장 많이 쓰는 주입 방식일 것이다.

객체 생성시 필수로 생성자가 실행되기 때문에,
필드 주입과 달리 참조 관계를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4. 논란점

사실 DI는 설계의 원리적으로 이야기할 것들이 많다.
필드 주입이냐, 생성자 주입이냐 등등

부록으로 그런 것들에 대한 필자의 생각을 적어보려 한다.

다음 편으로는 Container에 대해 알아볼 것이니,
부록이 관심없다면 넘어가면 된다 : )
아니면 부록으로!

profile
개발을 이야기하는 개발자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