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계층 (Layer)을 모두 거쳐서 내려가고, 올라간다. (ex) Layer 1에서 Layer 3으로 뛰어넘어 갈 수 없다.
반드시 암기가 필요하다.!!!
OSI 7모델 : P.D.N.T.S.P.A (피디엔티 스파)
TCP/IP모델 : N.I.T.A (니타)
아래 프로토콜을 찾아서 간단하게 답하시오.
[7계층]
- HTTP : 웹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평문 데이터 전송, 공격에 취약)
- HTTPS : 인증서 기반의 웹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암호화된 데이터 전송)
- Telnet : 원격서버 접속용 프로토콜 (평문 데이터 전송, 공격에 취약, 현재는 모두 ssh로 대체)
- SSH : 원격서버 접속용 프로토콜 (암호화된 데이터 전송)
- DNS :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는 프로토콜 (naver.com)
- DHCP : IP 주소 자동 할당하는 프로토콜 (공유기)
[4계층]
- TCP : 데이터 전송을 위한 양방향 대화하면서 연결하는 프로토콜 (http, ssh …)
- UDP : 데이터 전송 위한 양방향 대화를 하지 않고 연결하는 프로토콜 (dns 질의, dhcp)
[3계층]
- ICMP : 인터넷 제어 프로토콜로 진단/제어, 오류에 대한 응답을 하는 프로토콜 (ping)
- IP : 송신측과 수신측의 IP주소 정보가 들어있는 프로토콜 (IPv4, IPv6)
- ARP : LAN상에서 통신 상대방의 MAC주소를 알아오는 프로토콜
[2계층]
- Ethernet : LAN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 HDLC, PPP : WAN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네트워크 계층과 기능, 프로토콜, 장비를 이해하고,
패킷 트레이서를 통해 데이터 전송의 시뮬레이션을 진행해 본다.
실습> 패킷트레이서를 이용해서 아래 네트워크를 구현하시오.
파일명: 4.네트워크구축.pkt
10.10.10.0/24 20.20.20.0/24
GW: 10.10.10.254 GW: 10.10.10.254
.1 [PC1]--+ g0/0 g0/1 +--[PC4] .1
.2 [PC2]--+-----[SW1]-------[R1]-------[SW2]-----+--[PC5] .2
.3 [PC3]--+ .254 .254 +--[PC6] .3
PC2 설정:
IP Address: 10.10.10.2
Subnet Mask: 255.255.255.0
Default Gateway: 10.10.10.254
PC4 설정:
IP Address: 10.10.10.3
Subnet Mask: 255.255.255.0
Default Gateway: 10.10.10.254
PC4 설정:
IP Address: 20.20.20.1
Subnet Mask: 255.255.255.0
Default Gateway: 20.20.20.254
PC5 설정:
IP Address: 20.20.20.2
Subnet Mask: 255.255.255.0
Default Gateway: 20.20.20.254
PC6 설정:
IP Address: 20.20.20.3
Subnet Mask: 255.255.255.0
Default Gateway: 20.20.20.254
💥💥💥 2. 라우터 설정 (매우 중요) 💥💥💥
enable: en, 관리자로 변경
configure terminal: conf t, 설정모드로 변경
interface fastEthernet0/0: int f0/0, int fa0/0 fa0/0 인터페이스 선택
interface GigabitEthernet0/0: int g0/0, int gi0/0 gi0/0 인터페이스 선택
ip address 10.10.10.254 255.255.255.0 : ip add,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설정
no shutdown: no sh, 인터페이스 활성화
end: 밖으로 탈출 (exit 여러 번 할 필요없음)
show ip interface bief: sh ip int b, 인터페이스 정보 확인
📌 Tip Tip Tip 📌
!R1 (!는 주석처리, 하기 코딩을 복붙하여 사용 가능)
en
conf t
int g0/0
ip add 10.10.10.254 255.255.255.0
no sh
int g0/1
ip add 20.20.20.254 255.255.255.0
no sh
end
sh ip int b
!
실습 > DHCP 서버 설정을 통해 IP주소 자동할당 서비스를 시뮬레이션한다.
💥 [DHCP 동작 과정] DORA를 기억하자!!! 💥
D (discover) : Client가 DHPC Server를 찾는 메시지
O (Offer) : Server가 Client에게 IP주소 관련 사항을 응답하는 메시지
R (Request) : Server가 제공하는 IP주소 정보를 사용할 것이라는 요청 메시지
A (Ack) : Server가 Client에게 IP주소 정보를 최종적으로 허가하는 메시지
(패킷 트레이서 설정)
1) D (discover) : 서버 찾기
(참고)
bit : 데이터를 나타내는 최소단위
1bit가 8개 모여있으면 1byte가 된다.
1byte는 8bit이다.
2진수
0~1
1byte: 00000000
00000000 ~ 11111111
8진수
0~7
10진수
0~9
16진수
0~15
0 ~ 9
10: A, a
11: B, b
12: C, c
13: D, d
14: E, e
15: F, f
💥💥💥 MAC주소: 6byte(6byte x 8bit = 48bit) 💥💥💥
네트워크 장비(스위치, 라우터) MAC주소 표기법: 0000.0000.0000 ~ FFFF.FFFF.FFFF, ffff.ffff.ffff
리눅스 MAC주소 표기법: 00:00:00:00:00:00 ~ FF:FF:FF:FF:FF:FF, ff:ff:ff:ff:ff:ff
윈도우 MAC주소 표기법: 00-00-00-00-00-00 ~ FF-FF-FF-FF-FF-FF, ff-ff-ff-ff-ff-ff
2) O (Offer) : IP주소 정보 할당
3) R (Request) : IP할당 요청
4) (Ack) : IP할당 승인
> 실습> 패킷트레이서를 이용해서 아래 네트워크를 구현하시오.
파일명: 6.네트워크구축.pkt
PC1 ~ PC3 의 네트워크 설정은 DHCP로 설정한다.
DHCP 서버의 정보
IP주소 Pool: 10.10.10.10 ~ 10.10.10.100
DNS 서버의 정보
WEB 서버의 정보
모든 호스트의 공통
Default Gateway: 10.10.10.254
DNS: 10.10.10.1
설정
PC1, PC2, PC3, Server1 (DNS), Server2 (WEB), Server3(DHCP) 까지 모두 설정한다.
분석
Simulation > Edit Filters
IPv4: DNS, DHCP
Misc: HTTP, HTTPS
Switch :
MAC주소를 저장한다.
MAC주소를 저장하는 이유는 관리하기 위해서이다.
1) 네트워크 구성도
2) DHCP서버 네트워크 정보
3) DHCP서버 정보
4) WEB서버 네트워크 정보
5) WEB서버 정보
6) WEB서버 정보
7) DNS서버 정보
8) PC1 네트워크 정보
9) PC2 네트워크 정보
10) PC3 네트워크 정보
📌 WEB 동작방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