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명령어/마운트/디렉터리/파일 (교육 26일차)

SW·2022년 12월 27일
0

실습> DVD 마운트하기

/media 디렉터리는 CD/DVD/USB를 연결하는 디렉터리
– 마운트로 장치를 연결할 때는 연결할 디렉터리에 자료가 없어야 한다.
– 만약 연결할 디렉터리에 자료가 있다면 이전 자료는 보이지 않는다.

mount : 창치를 디렉터리에 연결한다.
umount: (언마운트) 연결된 장치를 연결을 해제한다.

명령어의 man mount, mount --help를 사용한다.
특정 장치 파일을 특정 디렉터리에 연결(마운트)할 때는 특정 디렉터리에 파일이 없어야 한다.
만약에 파일 특정 디렉터리에 존재하면 마운트 후 이전 파일은 보이지도 않고 접근할 수 없다.

1. iso 파일 넣기
CentOS-7-x86_64-Minimal-2009.iso 파일을 넣고 활성화(connect) 시킨다.
CentOS 7을 설치하고 특별히 DVD를 빼지 않았다면 그 안에 그대로 존재한다.

2. 마운트
mount 명령어를 이용해서 /dev/cdrom 장치를 /media 디렉터리에 연결시킨다.
형식:
mount [option] <장치> <디렉터리>

[root@localhost ~]# ls /media
<-- 파일이 아무것도 없다.

[root@localhost ~]# mount /dev/cdrom /media
mount: /dev/sr0 is write-protected, mounting read-only

[root@localhost ~]# df
<-- 요기!!!

3. 확인
[root@localhost ~]# ls /media/
CentOS_BuildTag EULA LiveOS RPM-GPG-KEY-CentOS-7 TRANS.TBL isolinux
EFI GPL Packages RPM-GPG-KEY-CentOS-Testing-7 images repodata

4. 언마운트
형식:
umount 장치명
umount 디렉터리명

[root@localhost ~]# umount /media <-- umount /dev/cdrom or umount /dev/sr0
[root@localhost ~]# df

[root@localhost ~]# ls /media
<-- 파일이 아무것도 없다.

실습> DVD 마운트 2

[root@localhost ~]# ls /home
user1 user2 user3

리눅스 설치 이미지인 DVD를 /home 디렉터리에 마운트 한다.
-t iso9660: DVD가 iso9660 파일시스템
-o ro: Read Only(읽기 전용)
[root@localhost ~]# mount -t iso9660 -o ro /dev/cdrom /home

[root@localhost ~]# df

이전에 있었던 user1 user2 user3 디렉터리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user1 user2 user3 디렉터리는 접근할 수 없다.
[root@localhost ~]# ls /home
CentOS_BuildTag EULA LiveOS RPM-GPG-KEY-CentOS-7 TRANS.TBL isolinux
EFI GPL Packages RPM-GPG-KEY-CentOS-Testing-7 images repodata

/dev/cdrom은 /dev/sr0에 심볼링 링크(바로가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umount의 3가지 이용 방법
– umount /dev/cdrom, umount /dev/sr0, umount /home

[root@localhost ~]# umount /dev/cdrom

[root@localhost ~]# ls /home
user1 user2 user3

실습> /proc 디렉터리

rm: 파일과 디렉터리를 삭제하는 명령어

[root@localhost ~]# ls /proc
[root@localhost ~]# cd /proc
[root@localhost ~]# ls -l
[root@localhost ~]# cat meminfo
[root@localhost ~]# cat cpuinfo

메모리에 있기 때문에 삭제 금지
rm -f: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
[root@localhost ~]# rm -f cpuinfo
rm: cannot remove `cpuinfo': 명령을 허용하지 않음

읽기 전용
[root@localhost ~]# echo Linux > cpuinfo
-bash: echo: write error: 입력/출력 오류

커널 파라미터(메모리에 있는 파일에 Write 할 수 있다.)
커널 파라미터: 운영중인 커널의 값을 변경해서 동작을 바꾸는 것이다.
/proc/sys: 커널 파라미터 디렉터리
/proc/sys/net/ipv4/ip_default_ttl: TTL의 기본값이 저장되어 있는 파일
/proc/sys/net/ipv4/icmp_echo_ignore_all: ping 허용/금지 여부 (0: 허용, 1: 금지)

[root@localhost ~]# cat /proc/sys/net/ipv4/ip_default_ttl
64

C:\Users\user2>ping 200.200.200.3

Ping 200.200.200.3 32바이트 데이터 사용:
200.200.200.3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64
200.200.200.3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64
200.200.200.3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64
200.200.200.3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64

200.200.200.3에 대한 Ping 통계:
패킷: 보냄 = 4, 받음 = 4, 손실 = 0 (0% 손실),
왕복 시간(밀리초):
최소 = 0ms, 최대 = 0ms, 평균 = 0ms

[root@localhost ~]# echo 128 > /proc/sys/net/ipv4/ip_default_ttl
[root@localhost ~]# cat /proc/sys/net/ipv4/ip_default_ttl
128

C:\Users\user2>ping 200.200.200.3

Ping 200.200.200.3 32바이트 데이터 사용:
200.200.200.3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128
200.200.200.3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128
200.200.200.3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128
200.200.200.3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128

200.200.200.3에 대한 Ping 통계:
패킷: 보냄 = 4, 받음 = 4, 손실 = 0 (0% 손실),
왕복 시간(밀리초):
최소 = 0ms, 최대 = 0ms, 평균 = 0ms

윈도우에서 ping test를 했을 때 리눅스에서 거부하는 커널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root@localhost ~]# echo 1 > /proc/sys/net/ipv4/icmp_echo_ignore_all
[root@localhost ~]# cat /proc/sys/net/ipv4/icmp_echo_ignore_all
1

C:\Users\user2>ping 200.200.200.3

Ping 200.200.200.3 32바이트 데이터 사용:
요청 시간이 만료되었습니다.
요청 시간이 만료되었습니다.
요청 시간이 만료되었습니다.
요청 시간이 만료되었습니다.

200.200.200.3에 대한 Ping 통계:
패킷: 보냄 = 4, 받음 = 0, 손실 = 4 (100% 손실),

[root@localhost ~]# echo 0 > /proc/sys/net/ipv4/icmp_echo_ignore_all
[root@localhost ~]# cat /proc/sys/net/ipv4/icmp_echo_ignore_all
0

C:\Users\user2>ping 200.200.200.3

Ping 200.200.200.3 32바이트 데이터 사용:
200.200.200.3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64
200.200.200.3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64
200.200.200.3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64
200.200.200.3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64

200.200.200.3에 대한 Ping 통계:
패킷: 보냄 = 4, 받음 = 4, 손실 = 0 (0% 손실),
왕복 시간(밀리초):
최소 = 0ms, 최대 = 0ms, 평균 = 0ms

실습> /usr 디렉터리

/usr 디렉터리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저장되는 디렉터리
/usr/bin: 모든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터리

[root@localhost ~]# cd
[root@localhost ~]# mc
-bash: mc: command not found
[root@localhost ~]# yum -y install mc
[root@localhost ~]# which mc
[root@localhost ~]# ll /usr/bin/mc
[root@localhost ~]# mc
<-- 텍스트용 파일 탐색기


실습> /usr/sbin 디렉터리

/usr/sbin 관리자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디렉터리

[root@localhost ~]# ls /usr/sbin/mkfs
ls /usr/sbin/mkfs.xfs
[root@localhost ~]# ls /usr/sbin/fdisk
:
:(생략)

실습> /var

tail: 텍스트 파일에서 끝에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

대표적으로 로그 파일이 이 디렉터리 밑에 있다.
/var/log
💥💥💥💥💥

tail -f: 파일의 끝에 새롭게 저장되는 로그들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는 옵션

로그파일의 종류
– 바이너리 파일: 전용 명령어로 본다.
– 텍스트 파일: 텍스트를 출력하는 명령어로 본다.(cat, head, tail, less, more, vi)

형식: tail -f 로그파일명
[root@localhost ~]# tail -f /var/log/secure

[root@localhost ~]# useradd user4
[root@localhost ~]# useradd user5

[root@localhost ~]# tail -f /var/log/secure
:
:(생략)
Jun 24 14:09:23 www useradd[1721]: new group: name=user4, GID=1003
Jun 24 14:09:23 www useradd[1721]: new user: name=user4, UID=1003, GID=1003, home=/home/user4, shell=/bin/bash
Jun 24 14:10:19 www useradd[1728]: new group: name=user5, GID=1004
Jun 24 14:10:19 www useradd[1728]: new user: name=user5, UID=1004, GID=1004, home=/home/user5, shell=/bin/bash

putty로 로그인을 한다.

로그인 실패시에는 아래처럼 로그가 기록된다.
login as: root
root@200.200.200.3's password:
Access denied
root@200.200.200.3's password:

Jun 24 14:14:12 www unix_chkpwd[1737]: password check failed for user (root)
Jun 24 14:14:12 www sshd[1735]: pam_unix(sshd:auth): authentication failure; logname= uid=0 euid=0 tty=ssh ruser= rhost=200.200.200.1 user=root
Jun 24 14:14:12 www sshd[1735]: pam_succeed_if(sshd:auth): requirement "uid >= 1000" not met by user "root"
Jun 24 14:14:15 www sshd[1735]: Failed password for root from 200.200.200.1 port 62579 ssh2

정상적으로 로그인하면 아래처럼 2개의 메세지가 기록된다.
root@200.200.200.3's password:
Last failed login: Fri Jun 24 14:14:15 KST 2022 from 200.200.200.1 on ssh:notty
There was 1 failed login attempt since the last successful login.
Last login: Fri Jun 24 14:01:42 2022 from 200.200.200.1

Jun 24 14:15:08 www sshd[1735]: Accepted password for root from 200.200.200.1 port 62579 ssh2
Jun 24 14:15:08 www sshd[1735]: pam_unix(sshd:session): session opened for user root by (uid=0)

로그아웃하면 아래처럼 로그가 기록된다.
[root@www ~]# exit

Jun 24 14:16:28 www sshd[1735]: pam_unix(sshd:session): session closed for user root
^C <-- tail -f 로 모니터링을 취소하기 위해서는 Ctrl + C 를 누르면 된다.

CentOS 6 까지는 /bin, /sbin, /usr/bin, /usr/sbin 이 각각 따로 존재했었지만
CentOS 7에서는 /bin 디렉터리가 /usr/bin 디렉터리와 통합되었고, /sbin 디렉터리가 /usr/sbin 디렉터리와 통합되었다.
/bin -> /usr/bin 디렉터리에 심볼릭 링크로 연결되어 있고 /sbin -> /usr/sbin 디렉터리에 심볼릭 링크로 연결되어 있다.
lost+found 디렉터리는 CentOS 7 버전에서 사라지고 없다.

모든 리눅스가 다 같은 것은 아니다.




실습> 파일의 종류 확인

유닉스, 리눅스에서는 모든 것을 파일로 처리한다.
동물
– 코끼리, 기린, 사자, 강아지 ...

[root@localhost ~]# ls -l /etc/passwd <-- - (정규파일, 일반파일)
[root@localhost ~]# ls -l /dev/sda <-- b (블록 장치 파일)
[root@localhost ~]# ls -l /dev/tty1 <-- c (문자 장치 파일)
[root@localhost ~]# ls -ld / <-- d (디렉터리 파일)
[root@localhost ~]# ls -l /dev/log <-- s (소켓 파일)
[root@localhost ~]# ls -l /run/systemd/initctl/fifo <-- p (파이프 파일)
[root@localhost ~]# ls -l /bin/sh <-- l (심볼릭 링크 파일)
[root@localhost ~]# mkfifo pipefile <-- 파이프 파일 pipefile을 생성한다.
[root@localhost ~]# ls -l pipefile <-- p

심볼릭 링크 파일:
ex) 윈도우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설정
lrwxrwxrwx. 1 root root 3 12월 27 15:31 /dev/cdrom -> sr0
lrwxrwxrwx. 1 root root 3 12월 27 15:31 cdrom -> sr0




-F 옵션은 파일의 종류에 따라서 파일명 뒤에 문자로 표시된다.
표시가 안되는 파일도 있다.

[root@localhost ~]# ls -lF /
[root@localhost ~]# ls -lF /dev/log
[root@localhost ~]# ls -lF pipefile
[root@localhost ~]# ls -F /bin/sh
[root@localhost ~]# ls -F /

💥💥💥 핵심!💥💥💥
명령어는 옵션이 많이 존재해서 다 외울 수 없기 때문에 아래 세 가지를 잘 기억해야 한다.
명령어의 역할
명령어의 사용법
명령어의 가장 중요한 옵션

리눅스 명령어
– 대괄호는 안 써도 된다.
– 대괄호가 아닌 꺽쇠기호는 무조건 써야한다.

ex)
ls
ls 명령어의 역할: 디렉터리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명령어, 파일의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
ls 명령어의 사용법: ls, ls -l /etc/passwd

-a, -l, -R, -i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한다.
[root@localhost ~]# ls

/dev 디렉터리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한다.
[root@localhost ~]# ls /dev

현재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 으로 시작하는 파일) 리스트를 자세히 출력한다.
[root@localhost ~]# ls -al
[root@localhost ~]# ls -a
[root@localhost ~]# ls -F /etc
[root@localhost ~]# ls -lF /etc
[root@localhost ~]# ls -lR /etc
[root@localhost ~]# ls -l /etc/passwd

cd 명령어에 디렉터리명이 없으면 자신의 홈디렉터리로 이동한다.
홈디렉터리: HOME
echo $HOME

절대 경로로 이동
/etc 디렉터리로 이동한다.
[root@localhost ~]# cd /etc

/usr/local/bin 디렉터리로 이동한다.
[root@localhost ~]# cd /usr/local/bin

/proc 디렉터리로 이동한다.
[root@localhost ~]# cd /proc

/usr/lib64 디렉터리로 이동한다.
[root@localhost ~]# cd /usr/lib64

자신의 홈디렉터리를 확인한다.
[root@localhost ~]# echo $HOME
/root







실습> 환경변수 HOME을 변경하기

[root@localhost ~]# cd <-- /root 디렉터리로 이동한다가 아니라 환경변수 HOME에 저장된 디렉터리로 이동한다.

[root@localhost ~]# HOME=/tmp
[root@localhost ~]# cd
[root@localhost ~]# pwd
/tmp
[root@localhost ~]# HOME=/root
[root@localhost ~]# cd
[root@localhost ~]# pwd
/root

실습> 상위/이전 디렉터리 이동

cd .. :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 : 이전 디렉터리로 이동

[root@localhost ~]# cd
[root@localhost ~]# pwd
/root
[root@localhost ~]# cd ..
[root@localhost /]# pwd
/
[root@localhost /]# cd -
/root
[root@localhost ~]# pwd
/root

실습> 사용자 디렉터리로 이동하기

cd ~사용자명: 사용자명의 해당하는 홈디렉터리로 이동한다.

[root@localhost ~]# useradd user1
[root@localhost ~]# useradd user2
[root@localhost ~]# useradd user3
[root@localhost ~]# cd ~user1
[root@localhost user1]# pwd
/home/user1
[root@localhost user1]# cd ~user2
[root@localhost user2]# pwd
/home/user2
[root@localhost user2]# cd ~user3
[root@localhost user3]# pwd
/home/user3

[root@localhost user3]# cd /tmp
[root@localhost tmp]# pwd
/tmp
[root@localhost tmp]# cd ~
[root@localhost ~]# pwd
/root

실습> 슈퍼유저 root 사용자의 다양한 홈디렉토리로 이동하기

/root : root 사용자의 홈디렉터리
~사용자 : 사용자의 홈디렉터리
HOME : 사용자의 홈디렉터리가 저장된 환경변수

1. 첫 번째 이동방법
[root@localhost ~]# cd /tmp
[root@localhost tmp]# cd
[root@localhost ~]# pwd
/root
[root@localhost ~]# cd -

2. 두 번째 이동방법
[root@localhost ~]# cd /tmp
[root@localhost tmp]# pwd
/tmp
[root@localhost tmp]# cd ~
[root@localhost ~]# pwd
/root

3. 세 번째 이동방법
[root@localhost ~]# cd /tmp
[root@localhost tmp]# cd ~root
[root@localhost ~]# pwd
/root
[root@localhost ~]# cd -
/tmp

4. 네 번째 이동방법
[root@localhost tmp]# cd /root
[root@localhost ~]# pwd
/root
[root@localhost ~]# cd -
/tmp

5. 다섯 번째 이동방법
[root@localhost tmp]# cd ~
[root@localhost ~]# pwd
/root
[root@localhost ~]# cd -
/tmp

6. 여섯 번째 이동방법
[root@localhost tmp]# cd $HOME
[root@localhost ~]# pwd
/root

실습> 디렉터리 생성하기

mkdir: 디렉터리를 생성하는 명령어

[root@localhost ~]# mkdir A
[root@localhost ~]# mkdir B
[root@localhost ~]# ls -l
합계 4
drwxr-xr-x. 2 root root 6 12월 27 20:09 A
drwxr-xr-x. 2 root root 6 12월 27 20:09 B
-rw-------. 1 root root 1238 12월 20 15:51 anaconda-ks.cfg
[root@localhost ~]# mkdir -m 700 C
[root@localhost ~]# mkdir -m 701 D
[root@localhost ~]# mkdir -m 111 E
[root@localhost ~]# ls -l
합계 4
drwxr-xr-x. 2 root root 6 12월 27 20:09 A
drwxr-xr-x. 2 root root 6 12월 27 20:09 B
drwx------. 2 root root 6 12월 27 20:13 C
drwx-----x. 2 root root 6 12월 27 20:13 D
d--x--x--x. 2 root root 6 12월 27 20:13 E

a 디렉터리가 없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되었다.
[root@localhost ~]# mkdir a/b/c
mkdir: `a/b/c' 디렉토리를 만들 수 없습니다: 그런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없습니다

-p 옵션을 이용해서 a/b/c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root@localhost ~]# mkdir -p a/b/c
[root@localhost ~]# ls -R

.:
A B C D E a anaconda-ks.cfg

./A:

./B:

./C:

./D:

./E:

./a:
b

./a/b:
c

./a/b/c:

실습> rmdir

rmdir은 파일(-,d,b,c,l,p,s)이 하나라도 존재하면 삭제할 수 없다.
그래서 잘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파일(-,d,b,c,l,p,s)을 삭제하는 명령어 rm을 사용한다.

[root@localhost ~]# rmdir A
[root@localhost ~]# rmdir B
[root@localhost ~]# rmdir C D E

[root@localhost ~]# rmdir a
rmdir: failed to remove `a': 디렉터리가 비어있지 않음
[root@localhost ~]# ls a
b

[root@localhost ~]# rm -rf a
[root@localhost ~]# ls
anaconda-ks.cfg

실습> touch

0 byte 크기의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

[root@localhost ~]# touch 1.txt 2.txt 3.txt
[root@localhost ~]# ls -l
합계 4
-rw-r--r--. 1 root root 0 12월 27 20:24 1.txt
-rw-r--r--. 1 root root 0 12월 27 20:24 2.txt
-rw-r--r--. 1 root root 0 12월 27 20:24 3.txt
-rw-------. 1 root root 1238 12월 20 15:51 anaconda-ks.cfg

실습> cat

text 일반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

[root@localhost ~]# cat /etc/passwd
[root@localhost ~]# cat -n /etc/passwd
[root@localhost ~]# cat /var/log/secure
[root@localhost ~]# cat /bin/ls

출력 리다이렉션을 이용해서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cat 명령어를 이용해서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형식:
cat > 파일명
...
...
Ctrl + D 를 누른다.

[root@localhost ~]# cat > test.txt
Hello
안녕하세요.
^d <-- Ctrl + D 입력
[root@localhost ~]# cat test.txt
Hello
안녕하세요.

입력 리다이렉션을 이용해서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형식:
cat << 문자열 > 파일명
...
...
문자열

[root@localhost ~]# cat << EOF > test2.txt
> hello
> Hi
> EOF
[root@localhost ~]# cat test2.txt
hello
Hi

[root@localhost ~]# cat << ABC > test3.txt
> 안녕하세요.
> 반갑습니다.
> ABC
[root@localhost ~]# cat test3.txt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실습> head

파일의 처음 부분을 출력하는 명령어
옵션이 없으면 기본 10줄

[root@localhost ~]# head /etc/passwd
root:x:0:0:root:/root:/bin/bash
bin:x:1:1:bin:/bin:/sbin/nologin
daemon:x:2:2:daemon:/sbin:/sbin/nologin
adm:x:3:4:adm:/var/adm:/sbin/nologin
lp:x:4:7:lp:/var/spool/lpd:/sbin/nologin
sync:x:5:0:sync:/sbin:/bin/sync
shutdown:x:6:0:shutdown:/sbin:/sbin/shutdown
halt:x:7:0:halt:/sbin:/sbin/halt
mail:x:8:12:mail:/var/spool/mail:/sbin/nologin
operator:x:11:0:operator:/root:/sbin/nologin

[root@localhost ~]# head -n 3 /etc/passwd
root:x:0:0:root:/root:/bin/bash
bin:x:1:1:bin:/bin:/sbin/nologin
daemon:x:2:2:daemon:/sbin:/sbin/nologin

[root@localhost ~]# head -3 /etc/passwd
root:x:0:0:root:/root:/bin/bash
bin:x:1:1:bin:/bin:/sbin/nologin
daemon:x:2:2:daemon:/sbin:/sbin/nologin

실습> tail

파일의 마지막 부분을 출력하는 명령어
옵션이 없으면 기본 10줄

[root@localhost ~]# tail /etc/passwd
dbus:x:81:81:System message bus:/:/sbin/nologin
polkitd:x:999:998:User for polkitd:/:/sbin/nologin
sshd:x:74:74:Privilege-separated SSH:/var/empty/sshd:/sbin/nologin
postfix:x:89:89::/var/spool/postfix:/sbin/nologin
chrony:x:998:996::/var/lib/chrony:/sbin/nologin
user1:x:1000:1000::/home/user1:/bin/bash
user2:x:1001:1001::/home/user2:/bin/bash
user3:x:1002:1002::/home/user3:/bin/bash
user4:x:1003:1003::/home/user4:/bin/bash
user5:x:1004:1004::/home/user5:/bin/bash

[root@localhost ~]# tail -n 3 /etc/passwd
user3:x:1002:1002::/home/user3:/bin/bash
user4:x:1003:1003::/home/user4:/bin/bash
user5:x:1004:1004::/home/user5:/bin/bash

[root@localhost ~]# tail -3 /etc/passwd
user3:x:1002:1002::/home/user3:/bin/bash
user4:x:1003:1003::/home/user4:/bin/bash
user5:x:1004:1004::/home/user5:/bin/bash

-f 옵션은 파일의 추가되는 내용을 모니터링해준다.
주로 로그파일(텍스트형식)을 확인할 때 사용한다.

[root@localhost ~]# tail -f /var/log/secure

실습> more

[root@localhost ~]# more /etc/DIR_COLORS
[root@localhost ~]# ls -lR | more

실습> 문제를 풀어보세요.

설정파일이 모여있는 디렉터리는 어디인가?
부팅에 관련된 파일이 모여있는 디렉터리는 어디인가?
장치 파일이 모여있는 디렉터리는 어디인가?
사용자 디렉터리가 모여있는 디렉터리는 어디인가?
라이브러리가 모여있는 디렉터리는 어디인가?
가상파일시스템 디렉터리는 디렉터리는 어디인가?
커널을 업데이트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자신의 현재 터미널을 보여주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리눅스 설치 시 기본으로 제공되는 6개의 가상 콘솔명과 이동키는 무엇인가?
– 첫 번째 가상콘솔/이동 단축키:
– 두 번째 가상콘솔/이동 단축키:
– 세 번째 가상콘솔/이동 단축키:
– 네 번째 가상콘솔/이동 단축키:
– 다섯 번째 가상콘솔/이동 단축키:
– 여섯 번째 가상콘솔/이동 단축키:
첫 번째 HDD의 장치명은 무엇인가?
두 번째 HDD의 장치명은 무엇인가?
user1 사용자가 접속하기 위해서 필요한 명령어는 무엇인가?
명령어에서 사용하는 공유 라이브러리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HDD의 파티션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CentOS-7-x86_64-Minimal-2009.iso 파일을 /media 디렉터리에 마운트(연결)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마운트된 CentOS-7-x86_64-Minimal-2009.iso 파일을 해제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시스템에서 cpu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기록하는 로그파일은 무엇인가?
ls 명령어의 도움말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아래 cd 명령어는 설명을 적으시오.
– cd:
– cd 디렉터리명:
– cd -:
– cd ..:
– cd ~:
– cd ~user1:
디렉터리를 생성하는 명령어와 a 디렉터리를 생성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 디렉터리 생성 명령어:
– a 디렉터리를 생성하는 명령어:
0byte 크기의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와 a.txt 를 생성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 0 byte 크기의 파일 생성 명령어:
  • 0 byte 크기의 a.txt를 생성하는 명령어:
    ls -l을 했을 때 나오는 파일의 종류는 무엇인가?
    –:
    d:
    b:
    c:
    l:
    p:
    s:
    ssh 명령어로 200.200.200.3 서버의 user1 사용자로 접속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user1 사용자를 생성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user2 사용자를 생성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user3 사용자를 생성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user4 사용자를 생성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user5 사용자를 생성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user1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user2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user3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user4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user5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user1 사용자를 삭제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user2 사용자를 삭제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user3 사용자를 삭제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user4 사용자를 삭제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user5 사용자를 삭제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이전 명령어의 히스토리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이전 명령어의 히스토리 5개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시스템을 종료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시스템을 재부팅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dev/sda 의 파티션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디스크의 사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profile
정보보안 전문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