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을 진행하다보면 콘솔창에 많은 Warning Logs 때문에 원인 분석을 하기가 힘들다. 또한 네트워크와 관련된 에러 로그, 앱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스레드의 사용 극대화를 위한 동시성 및 병렬성과 같은 기술적인 스레드 사용 기법을 통해 코드의 전반적인 통합적인 L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중 카카오맵 SDK를 연동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참고로 글쓴이의 개발 환경은 아래와 같다. 노트북 : M2 Air 16GB 개발 IDE 및 버전 : Xcode 14.3 빌드 환경 : arm64(default)In DaumMap
Swift를 개발하다보면 실행하는데는 문제가 없지만 강한참조와 관련하여 메모리 릭이 일어 날경우 앱 운영에 지장을 초래할수 있다.따라서 강한참조를 어떻게 디버깅하여 찾을수 있는지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강한참조 디버깅을 하기 위해선 DebugMemoryGraph 해당
RxSwift를 하면서 보통 데이터 바인딩을 할 때 아래와같이 text를 바인딩시키곤 한다. ex) let labelTextSubject = BehaviorSubject(value: "Initial Text") labelTextSubject .map {
1)PublishSubject(구독 후 이벤트 발생)결과)1) next(PublishSubject 구독 후1)1) next(PublishSubject 구독 후2) 2)BehaviorSubject(구독하기 전 마지막 이벤트~구독 후 이벤트 발생)결과)1) next(Be
git rm -r --cached . git add . git commit -m "fixed untracked files"
\*먼저 내용소개에 앞서 최적의 로컬DB 저장을 위한 구축(백그라운드 스레드 큐나 배치큐와 같은 처리 작업이나 UI Thread와의 동기화작업을 한다던지 등)은 생략 함간단하게 TodoList앱을 만드는 도중 에뮬레이터에서 데이터를 UserDefaults로 저장 후 바
Swift에서 화면전환에 자주 사용하는 Push와 더불어 모달도 자주 사용하고 있는데 이 Modal방식은 네비게이션이 없기때문에 모달을 여러개 띄울 경우 한번에 닫을수 없다.(push로 계속 했을 경우 pop으로 계속하여 닫을 수 있다.)닫는방법이야 여러개 있겠지만(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