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Always Awake

#64.TIL | FastAPI 공식문서 따라하기(7)

API에 메타 데이터와 설명을 추가했던것과 같이 Pydantic model안에도 Pydantic's Field를 사용하여 추가가 가능하다.

2023년 1월 15일
·
0개의 댓글
·

#63.TIL | FastAPI 공식문서 따라하기(6)

https://slender-danger-059.notion.site/7-Body-Multiple-Parameters-2686cabe55f04a7f803ed8111b9bc74c당연히 path, query, request body 파라미터를 동시에 받을 수 있다

2023년 1월 15일
·
0개의 댓글
·

#62.TIL | FastAPI 공식문서 따라하기(5)

https://slender-danger-059.notion.site/6-Query-Parameters-and-String-Validations-0a4928924fa6419c8eb970a13ded3c01FastAPI에서 파라미터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을 지원한다

2023년 1월 1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61.TIL | FastAPI 공식문서 따라하기(4)

https://slender-danger-059.notion.site/5-Request-Body-b5a20b217d524675ba22ee7437ee5c7b클라이언트에서 API로 데이터를 보내고 싶다면, request body를 사용할 수 있다. request

2023년 1월 1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60.TIL | FastAPI 공식문서 따라하기(3)

https://slender-danger-059.notion.site/4-Query-Parameters-222b7c54d33c43f69c6df89921d90468path 파라미터가 아닌 값을 함수의 파라미터로 선언을 하게 되면, FastAPI는 자동적으로 이를

2023년 1월 1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59.TIL | FastAPI 공식문서 따라하기(2)

https://slender-danger-059.notion.site/3-Path-Parameters-c6adb1f360a44456956c4a7d462feafb파이썬 기본 문법으로 매개변수를 경로에서 설정할 수 있다.데코레이터에 있는 매개변수 item_id의

2023년 1월 1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58.TIL | FastAPI 공식문서 따라하기(1)

https://slender-danger-059.notion.site/2-First-Steps-87923b1bf0634a499793c1bb300dd482다음과 같이 main.py를 구성main: 실행시킬 파일 (main.py)app: 실행시킬 파일 내에서 생성

2023년 1월 1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57.TIL | docker-compose 에러 슈팅

젠킨스로 자동으로 구축한 CI/CD에서 다음과 같은 메세지 발견.처음이라 당황했지만, 디스크 용량 문제임을 알게 되었음.디스크 사용량을 알 수 있는,명령어를 통해 확인해보니 현재 루트에서 디스크 100% 사용중을 알 수 있었음.안쓰는 도커 이미지를 정리해주는 명령어를

2023년 1월 1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56.TIL | SSR CSR

https://slender-danger-059.notion.site/SSR-CSR-e6005878a059468495523d6483bb3a6d

2023년 1월 1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55.TIL | Redis

https://slender-danger-059.notion.site/Redis-faa4acc3f64e4b1d9ab02eef6dd671f6

2023년 1월 1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54.TIL | ETag를 이용하여 더 나은 Restful API 만들기

https://slender-danger-059.notion.site/ETag-Restful-API-6515d851db2241f2a9040b4dc113679d

2023년 1월 1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53.TIL | Home server

https://slender-danger-059.notion.site/Home-server-606e07bd4fb04fa18c59fb9b392c3520

2023년 1월 1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52.TIL | 서비스 제품 설계

정보구조도, Information Architecture의 앞글자를 따서 부르는 UX용어서비스 구축 시 기본 설계 구조도이며, 일종의 사이트맵 형식을 구체화한 문서서비스의 기능들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화면의 상하구조 파악에 도움을 줌계층 패턴 주로 웹서비스탭

2022년 8월 3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51.TIL | 서비스 요구사항 정의, 프로젝트 일정관리, QA, 오픈, 회고 방법론

기획하는 단계에서 ‘왜 이 제품 / 서비스를 만들어야 하는가?’에 중점을 둔 문서각 이해관계자들의 과점 차이를 해소, 기획한 의도 및 주요기능을 유관부서 등에게 명확하게 전달하는 문서개요기회 및 임팩트시장에서 서비스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데이터)제품 정의 및 요구사항,

2022년 8월 3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50.TIL | 서비스 기획, 목표 설정, 제품 로드맵

고객 니즈 파악국내외 시장조사, 비슷한 서비스 벤치마킹고객 트렌드 분석서비스 추진 배경, 목적 및 목표 설정PRD 작성 (제품 요구사항 정의서) \- 리서치 자료, 담당자, 제품의 주요 기능명, 설명 리스크 검토 진행 (법적, 개인정보 등의 이슈 확인)서비스 정책, 프

2022년 8월 3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49.TIL | UI/UX Case Study - 쇼핑 앱(지그재그 vs 하이버)

2015년 6월 출시, 6500곳 이상의 스토어 입점중동대문 의류를 판매하는 쇼핑몰을 기반으로 성장출시 이후 누적 거래액은 3조원 이상, 누적 다운로드는 3500만건2021년 카카오 인수, 여성 패션 플랫폼 최초로 2021년 연 거래액 1조원을 돌파MAU 370만명20

2022년 8월 2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48.TIL | UI/UX Case Study - 음악 서비스 앱(Spotify vs Naver Vibe)

UX는 사용자의 문제 해결여정에 초점, UI는 제품 표면의 모양과 기능에 초점 (구글 프로덕트 매니저, 켄 노턴)UI(User Interface)사용자가 제품/서비스를 사용할 때 마주하게 되는 시각적인 부분폰트, 컬러, 레이아웃, 로고 등의 요소를 말함UX(User

2022년 8월 2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47.TIL | 사용자 & 서비스 분석 (UX 리서치, 페르소나, 저니맵)

제품에 대한 시장의 반응 및 선호도를 조사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들의 행동과 태도를 관찰하고 문제 해결방법의 근거를 찾아서 실질적인 해법을 찾는 것을 의미정성적 리서치 -> why?사용자 인터뷰,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필드 스터디 등정량적 리서치 -> H

2022년 8월 2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46.TIL | 문제발견, 제품의 차별화 및 기회 창출

→ 시작은 고객의 페인포인트를 해결하는데 있다.서비스에 맞는 별도의 체계와 기준을 마련하여 페인포인트 분석 필요고객여정지도(Customer Journey Map)데이터분석(텍스트분석) 방법 활용분류 분석: 제품 및 속성에 대한 분류 체계를 마련하여 분석하는 방법감성 분

2022년 8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45.TIL | PM의 전문성, Product People(제품인)

테크니컬리스트 PM기술혁신을 통해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데 관심신기술 중심 산업제너럴리스트 PM대부분이 여기에 속함사용자의 문제해결과 사용자 경험에 관심주된 과제는 growth(데이터와 가설, 실험을 중심으로 한 실질적인 성장. 스케일링이라고도 함)지표를 드라이브하

2022년 8월 17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