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넷과 서브넷마스크

Seongmin·2022년 12월 8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2/2

IPv4 주소가 고갈됨에 따라, 각 라우터가 브로드캐스팅하는 로컬 네트워크 영역에 public IP 대역을 호스트가 필요한 만큼만 할당하려고 했다.

서브넷 마스크

로컬 네트워크 내부에서 접속한 호스트의 IP 대역을 외부 네트워크와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표준화된 수단

IP주소 → 네트워크 부분 + 호스트 부분

  • 하나의 로컬 네트워크란 하나의 라우터를 거쳐가는 여러개의 호스트(PC, 스마트폰 등)들이 연결된 브로드캐스트 영역이다. 즉, 어떤 네트워크에서 한 노드가 브로드캐스트를 했을 때 그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가 신호를 받았다면 그 네트워크는 하나의 네트워크라고 볼 수 있다.

    → 하나의 로컬 네트워크에서는 IP 주소의 네트워크 부분은 같아야 하고, 호스트 부분은 달라야 한다

      

서브넷

효율적인 네트워크 통신과, 브로드캐스팅을 위해 장치들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하나의 그룹으로 묶은 것

  • 서브넷은 작은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네트워크 성능 개선을 위해 네트워크 관리자가 효율적으로 자원을 분배하는 것이 바로 서브네팅(Subnetting)입니다.

만약 통신하고자 하는 대상 호스트가 현재 장치가 속한 네트워크의 서브넷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해당 네트워크 밖으로 나간 후에, 여러 라우터를 거치며 대상 호스트가 속한 네트워크를 찾아내는 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진다.

게이트웨이 : OSI 7 Layer중 전송(Transport) 계층에 해당하는 기기로 서로 다른 프로토콜끼리도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해주는 기기

→ 같은 서브넷에 속하지 않은 호스트를 찾아가기 위한 관문

서브넷 마스크 : 서브넷을 구분하는 방법

서브넷 밖의 장치들은 로컬 네트워크가 아니다. 서브넷 마스크를 어떤 범위로 하느냐에 따라 로컬 네트워크의 범위가 달라진다.

IP 주소에서 192.168.0.1/24 혹은 192.168.0.1 서브넷 마스크:255.255.255.0과 같은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여기서 /24 와 255.255.255.0은 같은 것을 나타내는데, 255.255.255.0을 2진수로 쓰면 1111 1111.1111 1111.1111 1111.0000 0000이다. 여기서 앞에서부터 연속된 1의 개수만 나타낸 것이 /24이다. 슬래시로 표시되는 단위를 CIDR 표기법이라고도 한다.

똑같은 IP를 가진 다른 기기들은 MAC 주소로 찾아간다.

192.168.123.132를 예로 들면 이 IP 주소에서 ‘192.168.123.’은 네트워크를 나타내며 ‘132’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를 나타냅니다.

192.168.123.132 = 11000000.10101000.01111011.10000100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 부분을 반영합니다. 서브넷 마스크는 다음과 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55.255.255.0 =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이 둘을 합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납니다.

11000000.10101000.01111011.00000000 (네트워크 주소: 192.168.123.0)

00000000.00000000.00000000.10000100 (호스트 주소: 000.000.000.132)

여기서 192.168.123.0이 서브넷이며 192.168.123.132는 대상 주소(서브넷 내 기기)입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VPN을 이용하고 있다면 IP 주소는 여러분이 연결하는 VPN 서버에 따라서 달라질 것

https://namu.wiki/w/서브넷 마스크

https://nordvpn.com/ko/blog/what-is-subnet-mask/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