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ay Methods

seungyeon·2021년 11월 8일
0

JS

목록 보기
2/6

array? 자바스크립트는 다양한 타입을 담을 수 있지만 동일한 타입만 모아놓아야 한다.
자료구조의 하나이다.
배열은 인덱스 0부터 시작한다. 인덱스의 번호로 삽입 삭제가 가능하다.

생성하기

const arr1 = new Array();
const arr2 = [1, 2];
  • Declaration - new 생성자 함수로 배열을 만들 수 있고 []로 만들 수 있다.

Addtion / deletion (추가 / 삭제)

  • push : 뒤에서부터 item이 추가된다.

    // add
    arr.push('✨', '🎈');
  • pop : 뒤에서부터 item이 삭제된다.

     // remove
     arr.pop(); 
     console.log(arr);  // output:arr['✨']
    

배열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쉬프트와 언쉬프트보다는 팝 푸시 사용하는게 낫다. unshift, shift 전체의 움직임이 생기는거라 pop, push보다 느려진다.

  • unshift : 앞에서부터 item이 추가된다.
     // add
     arr.unshift('🎉', '🎇'); 
     console.log(arr); // output:arr['🎉', '🎇', '✨']
  • shift : 앞에서부터 item이 삭제된다.
     // remove
     arr.shift();  // 
     console.log(arr); // output:arr['🎉', '🎇']

Searching

  • indexOf : 몇번째 위치에 있는지 알려준다. 값이 없는 경우에는 -1이 출력된다.
    - 같은 데이터가 있을 경우 처음에 나오는 순서 위치를 알려준다
  // indexOf
  console.log(arr.indexOf('🎇'));// output: 1
  • lastIndexof : 아이템이 중복될 경우 뒤에 나오는 아이템 위치를 알려준다.
  // lastIndexof
  arr.push('🎇');
  console.log(arr.lastIndexof('🎇'));// output: 2
  • includes : 아이템이 있는지 없는지 true/ false 알려준다.
  // includes
  arr.push('🎇');
  console.log(arr.includes('🎨'));// output: false

Transform

  • slice : 원본 배열은 바뀌지 않고 새로운 배열에 시작인덱스를 정하고 끝나는 인덱스 번호를 제외하고 추출한다. (splice 원래 배열자체가 변형이 된다)
  // slice
    const num= [1, 2, 3, 4];
	const reslt = arr.slice(1, 3)
  console.log(result) // output: [2, 3]
              
  • map : 배열안에 있는 아이템을 새로운 배열로 변환을 해주는데 콜백 함수를 요청해 함수를 거쳐서 새로운 값으로 대체된다.
  // map
    let lengths = ["dksa", "asdgsa", "asdadaq", "wea"].map(item => item.length);

  console.log(lengths) // output: [4, 6, 7, 3]
              
  • join : 배열 안에 있는 모든 아이템을 더해서 문자로 반환, 반환할때 구분자를 넣어 반환된다
    (입력값이 없을 경우 default',')
 // join

  console.log(lengths.join('|')) // output: 4| 6| 7| 3
              
  • filter : 필터링 하고 싶은 조건 값을 넣고 콜백 함수에 전달해서 새로운 배열로 변환한다.
 // filter
const num = [4, 5, 6, 7, 8];
const result = num.filter((item) => item > 6);
  console.log(result)// output: [7, 8]
              
  • sort : 요소의 순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함수다 (정렬)
    - a(이전값) 와 b(현재값) 전달되는데 만약 a -b 오름차순 반대면 내림차순
 // sort
const num2= [7,4,2, 1, 5];
const result = num2.sort((a,b) => a - b);
console.log(result)// output: [1, 2, 4, 5, 7]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