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1.4 중첩된 한정기호

MoonLight·2021년 6월 15일
1

컴퓨터수학1

목록 보기
4/8
post-thumbnail

소개


  • Chapter 1.3에서는 xy(x+y=0)∀x∃y(x + y = 0)와 같은 하나의 한정기호 범위안에 다른 한정기호가 나타나는 중첩된 한정기호는 피했었다.
  • But 이번 Chapter 1.4에서는 위와 같은 것을 알아볼 것이다.
    • 어떤 한정기호 범위 안의 모든 것은 명제함수로 볼 수 있음
    • ex) xy(x+y=0)∀x∃y(x + y = 0)
      • 위의 표현은 Q(x)Q(x) is yP(x,y)∃yP(x, y)이고 P(x,y)P(x, y) is x+y=0x + y = 0xQ(x)∀xQ(x)와 같은 표현이다.

쫄지말자. 그냥 하나하나 대입한거다.


중첩된 한정기호 → 선언문


  • 예제 1) 변수(variable) x,yx,y의 정의역(domain)이 모든 실수(all real numbers)라고 하면,

    • xy(x+y=y+x)∀x∀y(x + y = y + x)
      • "모든 실수 xxyy에 대하여, x+y=y+xx + y = y + x"라는 표현이고, 실수의 덧셈에 대한 교환법칙을 의미한다.
    • xy(x+y=0)∀x∃y(x + y = 0)
      • "모든 실수 xx에 대하여, x+y=0x + y = 0을 만족하는 실수 y가 존재한다."라는 표현이고, 역원(additive inverse)이 있음을 나타낸다.
    • xyz(x+(y+z)=(x+y)+z)∀x∀y∀z(x+(y+z) = (x+y)+z)
      • "모든 실수 xx, yy, zz에 대하여, x+(y+z)=(x+y)+zx + (y + z) = (x + y) + z"라는 표현이고, 이는 실수의 덧셈에 대한 결합법칙을 나타낸다.
  • 예제 2) 다음 중첩된 한정기호를 선언문으로 번역하시오:

    • x,yx,y의 정의역이 모든 실수인
      xy((x>0)(y<0)(xy<0))∀x∀y((x > 0) ∧ (y < 0) → (xy < 0))

      • sol) "모든 실수 xxyy에 대하여, if x>0x > 0 and y<0y < 0,
        then xy<0xy < 0 이다."
  • 예제 3) 다음 중첩된 한정기호를 선언문으로 번역하시오:

    • 단, 술어 S(x,y)S(x, y): "xxyy에서 쇼핑한다."를 사용해라. (변수 xx는 사람들, 변수 yy는 가게)

      • yS(Margaret,y)∀yS(Margaret, y)
    • 술어는 "If yy가 하나의 가게라면, then MargaretMargaret은 거기서 쇼핑한다"를 의미하므로,
      답은 : "MargaretMargaret은 모든 가게에서 쇼핑한다."


선언문 → 중첩된 한정기호


  • 예제 1)

    • "만약 한명의 사람이 여성이고 한명의 부모라면, 이 사람은 누군가의 어머니이다. "를 술어(predicate), 정의역(domain)="모든 사람들"에 대해 한정사, 논리연산자로 표현하라.

    • The answer) 다음과 같이 표현 가능:

    • "모든 사람 xx에 대하여, If 사람 xx가 여성이고 사람 xx가 한명의 부모라면, then 사람 xx가 사람 yy의 어머니임을 만족하는 한명의 사람 yy가 존재한다."

      • 명제 함수:
        • F(x)F(x) = "xx는 여성이다"
        • P(x)P(x) = "xx는 한명의 부모이다"
        • M(x,y)M(x, y) = "xxyy의 어머니이다."
      • 명제 함수 With 한정사, 논리연산자:
        • x((F(x)P(x))yM(x,y))∀x( (F(x) ∧ P(x)) → ∃yM(x, y) )
  • 예제 2)

    • "모든사람은 반드시 한명의 베프만을 가진다. "를 술어(predicate), 정의역(domain)="모든 사람들"에 대해 한정사, 논리연산자로 표현하라.

    • The answer) 다음과 같이 표현 가능:

    • "모든 사람 xx에 대하여, 사람 xx는 반드시 한명의 베프만을 가진다."

      • "x∀x(사람 xx는 반드시 한명의 베프만을 가진다)"
      • 명제 함수:
        • B(x,y)="yB(x, y) = "y는 x의베프이다."x의 베프이다."
      • 명제 함수 With 한정사, 논리연산자:
        • xy((B(x,y)z((zy)¬B(x,z)))∀x∃y( (B(x, y) ∧ ∀z((z≠y)→¬B(x, z)) )

한정사의 순서

  • 예제 1) 술어 P(x,y)="x+y=y+x"P(x, y) = "x+y = y+x"이고 xxyy의 정의역이 실수일 때, xyP(x,y)∀x∀yP(x, y)의 진리 값은? 그리고, yxP(x,y)∀y∀xP(x, y)의 진리 값은?

    • Sol)

      • 모든 실수에 대하여 덧셈의 교환법칙이 성립하므로,

        xyP(x,y)∀x∀yP(x, y)의 진리 값은 True

        yxP(x,y)∀y∀xP(x, y)의 진리 값 역시 True

xy∀x∀yyx∀y∀x에 있어서, x∀xy∀y의 순서는 진리 값에 영향을 주지 않음

  • 예제 2) 술어 Q(x,y)="x+y=0"Q(x, y) = "x+y =0"이고 xxyy의 정의역이 실수일 때,
    yxQ(x,y)∃y∀xQ(x, y)xyQ(x,y)∀x∃yQ(x, y)의 진리 값은?

    • Sol)

      • yxQ(x,y)∃y∀xQ(x, y) : 어떤 yy에 대해 모든 xx가 "x+y=0x + y = 0"을 만족하는 yy가 존재함

        false

      • xyQ(x,y)∀x∃yQ(x, y) : 모든 xx에 대해 "x+y=0x + y = 0"을 만족하는 yy가 존재함

        true

아래의 것은 왜 true인가?? 모든 xx를 나열했을 때 x1,x2,,x{x_1,x_2,⋯,x_∞}라면 그러한 xx에 대해서 x+y=0x+y=0을 만족하는 yy값을 하나라도 찾는다면 참이 된다. 하지만, yx∃y∀x의 경우 어떠한 yy의 값이 고정되어 있고 그러한 yy에 대해 모든 xxx+y=0x+y=0을 만족한다는 표현이므로 false가 된다.

즉, ∃y∀x와 ∀x∃y에 있어서, ∀x와 ∃y의 순서는 진리 값에 영향을 줌

  • 변수가 두 개인 경우의 한정사 순서의 영향

유용한 동치법칙

  • xP(x)¬x¬P(x)∀xP(x) ⇔ ¬∃x¬P(x)
  • xP(x)¬x¬P(x)∃xP(x) ⇔ ¬∀x¬P(x)
    • 위의 두 표현 식은 앞서 소개한 한정사 정의를 이용하면 증명이 가능 (try it !)
    • 한정사의 정의:
      • xP(x)P(x1)P(x2)P(xn)∀xP(x) ⇔ P(x_1)∧P(x_2)∧⋯∧P(x_n)
      • xP(x)P(x1)P(x2)P(xn)∃xP(x) ⇔ P(x_1)∨P(x_2)∨⋯∨P(x_n)
  • x(P(x)Q(x))(xP(x))(xQ(x))∀x( P(x)∧Q(x) ) ⇔ (∀xP(x))∧(∀xQ(x))
  • x(P(x)Q(x))(xP(x))(xQ(x))∃x( P(x)∨Q(x) ) ⇔ (∃xP(x))∨(∃xQ(x))
    • 위의 표현 식 역시 한정사 정의를 이용해 증명이 가능 (try it !)
profile
hello world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