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포스팅 할 내용은 프로그래머스 문제 중 하나인 다트게임 문제를 풀어봤습니다. 1\. 문제 설명 2\. 문제 예시 3\. 문제 풀이 내용을 잘 읽어보면 문제를 쉽게 풀 수 있습니다. 먼저 S, D, T는 제곱근을 이용해서 구해주면 됩니다. 스타상(*)과 아차상(
이번에 다뤄볼 포스팅은 절차지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절차지향(순차적인 처리)프로시저 호출의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프로그래밍이라고 보면 된다. 즉 함수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 방법은 실행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존재했으나 현재는
오늘 포스팅 할 내용은 LeetCode 문제 중 하나인 Second Highest Salary 문제를 풀어봤습니다. 위의 이미지 링크를 클릭하면 Tistory 포스팅을 볼 수 있습니다. 포스팅은 위의 Tistory에도 동일하게 진행했습니다. 1\. 문제 설명 ![]
GitHub에서 레파지토리에 커밋을 할 때 SSH Key를 요청하는데 이 때 매번 ssh-token을 입력하는 것도 귀찮을 때가 있다. 그래서 나는 우선 ssh-key를 github에 등록해줬다. 등록하기 전 내 로컬 .ssh에 key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우선 나는
Gitlab현재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 기존에 있는 파일명과 동일한 파일을 레파지토리(원격 저장소)에 올릴려고 하다가 충돌이 난 상황이다. 충돌이 난 경우에 파일 내에서 merge를 하는 방법도 있으나 현재의 경우는 기존에 동일한 파일명이 존재하는데 파일명이
GraphQL은 페이스북에서 만든 쿼리 언어아직 GraphQl API를 Open API로 공개하지는 않았으나 인기가 높은 편이다.Gitlab(SQL)Stucted Query Language와 마찬가지로 쿼리 언어이다.SQL과 GQL의 언어적 구조 차이가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