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갓 개발세계에 입문한 5명의 좌충우돌 프로젝트를 무사히 마쳤습니다. 비록 발표 전날, merge 이후 핵심적인 기능들이 말을 듣지 않아 진땀을 뺐지만요...
우리가 하고 있는 것이 맞는지 더 나은 방법은 없는지를 생각을 하지 못할 정도로 감이 오지 않아 1주 4일이란 짧은 프로젝트 기간 동안 3일 정도는 초기 세팅과 업무 분담 그리고 방향성을 공유하는데 할애한 것 같습니다. 다음 프로젝트에는 1차 프로젝트의 경험을 바탕으로 action point를 뽑아 적용해보려고 합니다.
프로젝트를 돌아보면서 스스로 평가한 것들과action point
를 공유함으므로써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서로 알고 있는 지식의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잘하는 사람이 많은 것을 맡아 진행 할 수 밖에 없었던 점. 다들 열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아쉬운 결과를 얻은 것 같아 아쉽습니다.
action Point🧐
: 2차 프로젝트에는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우리가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할 것들을 공통으로 keyword를 뽑아 프로젝트 시작후 하루 이틀간 공유하고 이야기하며 서로의 지식을 공유하는 시간을 병렬적으로 갖는다면 더 좋은 퍼포먼스가 나올 수 있을 것 같다. 그 외에 자신이 부족하다고 생각되면 적극적인 자세를 통해 팀원들과 소통한다면 더욱 좋을 것 같다.(열심히 질문해야지...)
서로의 코드를 공유하고 설명해주는 시간이 너무 부족했던 것 같다. 각자 맡은 페이지 혹은 기능들을 끝내기에 급급했던 모습이 있었다. 시간이 짧아서 그럴 수 있긴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로의 코드를 모두에게 공유하고 설명하는 연습을 하는 시간을 가졌더라면 어땠을까? 생각이 든다.
action Point🧐
: onBoarding
이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저녁 먹고 자신이 작업한 부분의 코드를 공유하며 더 나은 코드가 없는지 살펴보고 Peer review를 받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좋을 것 같다.
frontEnd 간에 merge 이후 깨지는 UI , 동일한 state의 이름으로 인한 에러, merge 이후에 사라지는 기능, 받은 데이터의 형식이 달라 UI를 수정해야하는 상황등... 프로젝트 시작 전에 큰 그림을 미리 그리고 기획에 힘을 써야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action Point🧐
: 유저의 flow에 의한 페이지 구상 및 받아야하는 데이터등 사전에 필요한 모든 것을 frontend와 backend가 같이 모여서 2-3일 동안 깊게 토의하고 공유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action Point🧐
: 스프린트를 한주에 2번하여 짧은 기간 더 집중하여 달릴 수 있도록 하면 어떨까?
불필요한 소통들이 많았던 것 같다.
action Point🧐
: 팀원들을 만나 본격적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ice Braking 시간을 가지면 좋을 것 같다. 다양한 사람들이 만났기때문에 서로 다를 수 있으나 비젼을 공유하고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시작한다면 불필요한 갈등과 가지가 나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을 것 같다.
action Point🧐
: KPT 로 회고하며 소통할 수 있으면 더욱 좋을 것 같다.
action Point🧐
: 스프린트 회고 라는 노션 페이지를 만들면 좋을 것 같다. 더 나아가 에러 회고라는 페이지를 만들어 당면하고 있는 에러들을 공유하는 페이지를 만들면 능률이 올라갈 수 있을 것 같다.
잘한 것 보단 문제가 있었던 것들이 훨씬 많은 프로젝트였지만 무엇보다 많이 배운 10일이었습니다. 이번 경험을 발판으로 2차 프로젝트는 더욱 체계적이고 단단한 팀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목표로 달려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백프 협의 및 온보딩 시간은 정말 공감됩니다.. 2차는 더 좋은 결과 만들 수 있을 거에요!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