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데이터 애널리시스 4주차가 끝났다.
python 06.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07.패키지_모듈 , 08.예외처리 , 09.입출력, 10.iterable과 Decorator 중반
까지 진도가 나갔다.
이번주 배운 것중에 가장 기억에 개념은 객체지향 - 패키지_모듈 로 이어지는 부분.
김성환 강사님은 A - B - C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는데 A에서 배운게 바로 B에서 A'로 하위 개념으로 응용이 된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비슷한 기능을 하는 함수들은 묶어서 처리하기'위해 '객체'을 먼저 형성하여 그 사이의 관계를 생각하는 방식의 프로그래밍이라는 개념을 배우고 나서 , '패키지'(비슷한 기능을 하는 모듈을 담는 저장소)에 비슷한 기능을 하는 Class나 함수들을 묶은 '모듈'을 저장해둔다는 것을 배웠더니 개념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됐다.
특히, 나는 지금까지 그냥 import pandas as pd를 그냥 그 기능쓰려면 그 전에 미리 불러와줘야한다. 이렇게 기계적으로 생각했는데 파이썬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 이후로 필요한 기능들을 모으고 모으다 보니 비슷한 기능을 모아둔 모듈이란 것도 생기고, 이를 사용하기 위해 쓰는 것이라는 걸 확실히 배웠다. 이과인 친구에게 이정도까지 배운다고했더니 대학 교수님들은 이런걸 아무도 안알려주신다고했고 나도 공감했다.
처음 시작할때만 해도 나는 학교 수업에서 nltk 파이썬 자연어 처리 프로젝트정도의 경험만 있고, 그 마저도 교수님들이 미리 알려주신 코드를 누더기처럼 기워가며 과제를 수행했던 지라 '기초'를 탄탄히 하는 것에 갈망이 있었는데, 강사님이 내가 그동안 프로젝트를 하면서 의문을 가졌던 부분들을 정말 깊~게 알려주셔서(오히려 내가 완전 초급자였다면 이걸 왜 배우는 거지? 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같은데, 오히려 한 번 프로젝트를 돌고 기초수업을 들으니 쫙쫙흡수되었다.) 그 부분이 좋았다. 이 후, openCV로 영상처리를 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는 프로젝트를 실시하는데 기대된다~!! 영상이나 이미지를 딥러닝해서 분석하는 건 처음 해보는데 친한 수강생분이 되게 재밌을 거라고 해서 더욱 기대중이다.
수업 복습 스터디를 시작하면서 하루의 수업을 돌아가면서 설명해주는데 이 시간에서 수업중에 궁금했던 부분들도 공유하고 내가 이해했던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한번 더 개념을 정리하니 도움이 됐다. 개념 파트 수업이 끝나가니 문제풀이를 추가해서 개념-> 인출 과정을 복습하는 것이 좋을 것같다.
좋았던 것,,,,!을,,,, 생각하려니 왜케 생각이 안나지? 뭔가 공부하고 복습하는 건 당연하게 생각해서 아쉬운 점만 더 생각나는 기분인데 스스로를 좀 더 칭찬해보자면, 꾸준히 수업에 잘 집중하고 졸지도 않고, 내용 정리도 매일하고 있는 이 생활 자체가 맘에 든다. 9시부터 6시까지 수업을 듣고 1시간 30분을 통학한다는게 쉽지 않은데 잘 적응해가고 있다. 거기에 운동도 병행하면서 체력관리도 하고 있으니 무리하지만 않으면 좋을 듯 ㅎㅎ
프로그래머스에서 코딩 테스트 기초 트레이닝 문제들을 풀어보니까 복습이 굉장히 잘된다!
나는 양질전환의 법칙을 믿기 때문에 수업 끝나고 복습 스터디+ 개념정리 업로드+ 프로그래머스 양치기하면서 개념인출 계~~~속하기
수업 내용 복습할 때, jupyter에서 수업듣고 필기 > velog에서 내용정리하면서 요약
의 방법으로 했는데... 아무래도 그러다 보니 수업 후 복습시간만 1시간씩 걸려서 너무 비효율적이라고 느꼈다.(근데 하루 수업이 8시간이면 1시간은 나쁘지 않은 것같음. 중요한 건 수업자체에서 설명한 내용을 내가 다 흡수했느냐...)
그래서 수업들으면서 추가적인 개념설명은 수업 자료를 바로바로 복사해 velog에 저장하고, 수업끝난 후에는 코드 정리한 걸 다시 적어보면서 복습하는 것으로 바꾸기로했다!!! 수업 중 : 개념 정리 수업 후 : 코드 복습
실력 향상에는코드를 인출하는 게 더 많은 도움이 되니까, 내용은 최대한 요약! 키워드로! 수업에서는 이해!
수요일 아침에, 몸이 너무 안좋아서 일어나질 못했다. 결국 수업은 줌으로 요청해서 듣고 이후에는 병원갔다가 텍스트계속 잠만 잤는데, 저번주부터 확실히 무리를 했다는 걸 느꼈다...ㅠㅠ 12시전에 무조건 자고, 운동도 최소 9시에는 헬스장가서 하기
알고리즘 공부를 시작해야하긴 하는데, 일단 기초와 관련된 프로그래머스 코딩기초 트레이닝 > 코딩 기초 입문을 양치기로 빠르게 하고 복잡한 알고리즘은 이후 9월 중순부터 스터디를 하든 독학을 하든 하기
샤샤님 멋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