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Native] 0. Introduction

임소현·2024년 9월 1일
0

React Native

목록 보기
1/17

React Native는 React를 사용하여 단일 코드베이스로 iOS와 Android 앱을 개발할 수 있는 크로스 플랫폼 프레임워크이다. react가 익숙한 웹 개발자가 쉽게 앱 개발까지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한 번에 ios와 android 모두 개발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정말 큰 장점이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앱 형태의 개발을 진행해야 했기에, 다양한 방법을 두고 고민했었다.

  1. Flutter
    가장 먼저 고려한 프레임워크이다. 이전에 간단하게 앱을 만들어본 경험이 있기도 하고, react native와 마찬가지로 크로스 플랫폼이기 때문에 android/ios 모두 커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나는 javascript/typescript로 하는 개발에 너무나 익숙해있었고, flutter로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투자해야 하는 시간이 배로 들 것이 너무나 예상이 갔었다.

  2. Webview
    웹 개발자가 앱을 개발하기 위해 가장 많이 택하는 방식일 것이다. 프레임만 react native/ flutter를 이용하고, 모든 작동 방식은 webview로 구현하여 사실상 web과 다름없이 만드는 방식이었다. webview도 굉장히 관심이 많이 갔었지만, 일단 현재 진행해야하는 프로젝트는 native적인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확신할 수 없었기에 모든 걸 webview로 만들기에는 부담이 있었다.
    (또, 개인적인 오기였을 수도 있는데 앱을 만드는데 웹뷰로 열어 만든다는게 그다지 마음에 들지 않았다. 앱은 앱으로 만들고 싶다는게 개인적인 생각이었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괜한 오기였다.)

  3. React native
    마지막으로 고려한 프레임워크가 react native였다. react native는 전혀 사용해본 적이 없지만, react와 매우 비슷했고, native기능 또한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는 점이 나중에 프로젝트 확장성을 위해서도 좋을 것 같았다.

이렇게 해서 react native로 현재 개발을 진행 중이다.
약 2개월동안 진행하였지만, 짧다면 짧은 기간동안 그동안 리액트로 개발하며 본 적 없던 수많은 에러와 그 에러를 처리하기 위한 여러 시도들이 있었고, 어떤 건 아직 해결하지 못하기도 하였다.

지금부터는 그 과정을 기록하려 한다.

react native를 이용하여 개발하는 과정이나 방법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을 것 같다.
오로지 내가 다루려는 건 내가 맞닥뜨렸던 react native에서만 발생하는 오류들이다.
그럼 지금부터 시작해보겠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