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Native는 React를 사용하여 단일 코드베이스로 iOS와 Android 앱을 개발할 수 있는 크로스 플랫폼 프레임워크이다. react가 익숙한 웹 개발자가 쉽게 앱 개발까지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한 번에 ios와 android 모두 개발할
첫번째로 소개할 주제는 '버튼 더블 클릭으로 인한 이중 네비게이션 방지하기' 이다.주제만 들었을 때는 읭?? 하겠지만, 이게 생각보다 골치아픈 이슈이다.버튼을 누르면,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게끔 네비게이션을 구성하였다면, 한번쯤은 맞닦드릴 이슈일 것이다.이렇게 간단하게
앞서 말했듯, react native를 이용하면 하나의 코드로 android와 ios 모두 개발 가능하다. 하지만, 이 말이 정말로 하나의 코드가 모든걸 다 커버해줄 거라 생각한다면 android와 ios의 native적인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 내가 그랬다.) react native라는 프레임워크를 정하기 전, react native와...
이번에는 이어서 react native로 iOS 개발할 때 고려해야할 요소에 대해서 다뤄보겠다. android와는 다르게, ios는 TOP 부분에 있는 노치 영역을 피해서 UI 요소를 배치해야 한다. 고려하지 않으면, UI와 노치가 겹치게 되므로, 이는 반드시 처리해
이번에도 저번 포스팅에 이은 ios 관련 오류 해결 내용이다.어쩔 수 없다.요즘 주로 하고 있는 건 ios 개발이기 때문에, android보단 ios 관련 에러를 더 많이 접하고, 해결하고 있는 중이다.이번 주제는 '프로비저닝 프로필에서 인증서가 포함되지 않는다는 에러
이번엔 반가운 안드로이드 에러로 돌아왔다.왜 갑자기 안드로이드냐면, 오늘 ios 버전으로 앱스토어에 심사 요청을 했다. android와 ios를 한꺼번에 개발하려다보니, 코드상 달라지는 부분이 좀 있었기 때문에 최대한 ios 심사를 요청한 후, 다시 android 버전
이번 주제는 react-native-gesture를 이용하여 특정 컴포넌트 행을 스와이프 가능하도록 만들어보려고 한다.우선적으로, android 버전으로 가능하도록 진행하였고, ios로 실행해보고 ios로 따로 추가해야할 부분이 있으면 추후 수정할 예정이다.react-
이번 주제는 모바일 앱을 만드는 과정에서 자주 사용해볼 modal을 만드는 두 가지 방법에 대해서 다뤄보려고 한다.모바일 앱을 만들다보면, 화면 전환 없이 새로운 레이아웃에서 정보를 보여주고 싶을 때가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보통 modal을 고려하게 되는데, 나 역시
이번 주제는 facebook sdk를 이용하여 meta 광고 시 사용자 활동이 추적 가능하도록 facebook sdk를 적용하는 것이다. 앱 출시 후에는 이제 본격적으로 사용자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meta 광고를 통해 유입된 사용자의 경로나 활동을 파악하
이번에는 react native에서 gif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gif는 일반 이미지 파일과 약간 다른데, 먼저 일반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react native의 image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uri에 이미지 링크를 삽입하고 style
이번 주제는 react query에서 제공하는 useMutation에 관해 다뤄보려고 한다.내가 지금 진행중인 프로젝트에서는 react query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서버 상태 관리를 하고 있는데, 보통 처음 스크린에 포커싱 될 때, react query를 이용
이번엔 좀 간단하면서도 간단한 문제에 비해 사용자 경험을 상당히 많이 해치는 문제에 대해 다뤄보려고 한다.바로 보통 터치 이벤트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컴포넌트인 TouchableOpacity에 대한 문제인데, 게시판 리스트를 만들고, 관련 게시판 컴포넌트를 Tou
fcm 알람 기능 하나 추가하려 했을 뿐인데..
이번 포스팅은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그 이후에 어떠한 일이 생겼는지를 돌아보고자 한다.현재는 무사히 안드로이드에 알림 기능을 추가하며 플레이스토어에 업데이트 신청을 요청한 상태이고, 검토 중이다.한 이틀 간은 이 알림 기능에만 매달렸었는데, 다행히 잘 해결이 되어서 다
리렌더링은 컴포넌트를 화면에 다시 렌더링하는 과정으로, 상태나 속성이 업데이트 될 때 이를 반영하기 위해 사용된다. 의도하지 않은 리렌더링 과정은 성능 저하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리렌더링은 최소화해야할 필요가 있다.실제로 이전에 React native
성능 최적화를 위해 신경써야 할 부분 중 하나가 바로 메모리 관리이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실행 중인 서비스에서 메모리가 줄줄 누수되고 있다면, 결국 전체 성능 저하로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방지하고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보통
서버 도메인 변경 이슈가 있어서 앱 업데이트를 오랜만에 진행해야 했다.그러다보니 ios에서는 버전 이슈가 있었는데, 우선 올해 4월부터 XCode 버전이 16 이상으로 업데이트 되어야 앱 업데이트가 가능했기에 이를 업데이트 하면서 에러가 줄줄이 발생하였다.첫 번째로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