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print()
함수를 쓸때 소괄호 안에 내가 출력하고 싶은 어떤 문자를 넣지 않으면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아.
그럼 전 게시물엔 def 함수이름():
에서 소괄호가 의미하는건 함수를 실행시키는 것 이라고 썼는데 그 소괄호 안엔 무엇을 넣을 수 있을까?
위 문제의 답은 인자야.
이젠 me
를 매개변수 안에 넣어볼거야.
def a(me):
print("cool nico", me)
a("hyundong")
result /// cool nico, hyudnong
예를 하나 더 만들어보자.
def minus(a,b):
print(a-b)
minus(99,54)
minus(9,10)
minus(1,1)
result /// 45
-1
0
이런식으로 뺄셈을 해주는 함수를 만들었어.
오류 : 매개변수가 2개이상일 경우
호출 할때 인자를 1개 이하를 쓰면 에러가 걸림.
그래도 함수 호출할때 인자를 1개만 쓰고 싶다면
def minus(a,b=2):
print(a-b)
minus(1)
이런 식으로 매개변수에 b=2
을 써서 인자가 없을 경우
대신 호출 당하도록 할 수 있어.
하지만 함수를 호출할때, 제대로된 인자들이 있을땐
매개변수에 있는 b=2
는 무시 돼
def name(parameter) <- 소괄호 부분이 매개변수 print(```) name(Arguments) <- 소괄호 부분이 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