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타입에 대해 공부 하기전에 변수가 무엇인지부터 알고 진행하자. 변수 니콜라스쌤이 정의한 변수는 우리가 정보를 넣고 저장하는 곳이야, 수학에서 사용하는 변수랑 같은거라고 생각하면 편해. 그렇다면 변수 안에 다른 어떤 종류의 것들을 넣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시퀀스 타입에는 2가지 종류가 있어, 하나는 list 다른 하나는 tuple이야.내가 만약 어떤 열거 되어 있는 것 예를 들자면 한 주의 요일이나 어떤 한 그룹의 이름 목록 등..그러면 리스트를 안배운 사람은 아마도 대부분 한 변수에 다 넣으려고 할거야.하지만 해당 그
함수는 어떤 행동을 가지고 있고 계속 반복 할 수 있는 것이다.예를 들어 print() 에 괄호 안에 원하는 문자를 쓴다는 실행하면 콘솔에 괄호 안에 쓴 문자가 출력돼. 적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print() 같은 코드에 넣어놓고 그 원하는 문자를 콘솔에 출력하는 기능을
함수는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고 계속 반복 할 수 있는 것이야. function의 이름을 쓰고 소괄호 안에 뭔가를 넣거나 빈 채로 놔둔다. 이게 function을 사용하는 방법이야. 근데 이건 내장함수를 사용 할때 쓰던거라 딱히 감흥이 없지 그럼 어떻게 함수를 내
우리가 print()함수를 쓸때 소괄호 안에 내가 출력하고 싶은 어떤 문자를 넣지 않으면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아. 그럼 전 게시물엔 def 함수이름(): 에서 소괄호가 의미하는건 함수를 실행시키는 것 이라고 썼는데 그 소괄호 안엔 무엇을 넣을 수 있을까? 위 문제의 답
return의 주된 목적으로는 값을 돌려받는 것 그리고 함수를 종료시키는 거야. 여기서 값을 돌려받는다는게 무슨 뜻인지 햇갈리지만 예시로 설명할게.이렇게 해서 1+1을 plus()에 저장했기 때문에 때문에 plus()를 출력하면 2가 나와 .그리고 이렇게 쓰더라도 re
인자는 위치를 신경쓸 필요가 없다 위 출력값은 2가 나와,즉, 인자는 위치를 신경쓸 필요가 없는거지.이번엔 문자열을 정의해보자.근데 이렇게 쓰는건 좋은 방법이 아냐.이렇게 쓰는게 맞다고 니콜라스 쌤이 말하더라내 생각에도 위 방법이 더 편한것 같고.
니콜라스쌤이 내준 코드챌린지를 해보자. 7가지 연산자를 이용해 계산기 만들기 만들기.일단 7가지 연산자가 뭔지 알아보자. 부정의 의미야, 그냥 앞에 -를 붙힌다고 생각하면 돼. 제곱임 나눗셈을 하고 나온 나머지 (나누어 떨어질땐 0 ) 이젠 계산기를 만들어보자. 단순
조건문은 if-else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의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 조건문이 들어있어 조건문은 소프트웨어의 로직(논리)을 컨트롤 하는 방법이야 만약 18세 이하면 술을 마실 수 없다. 라는 것 처럼 " 만약 \~~하면 \~~하다" 같은 일반적인 삶과 비슷해.
조건문에는 or and not 같은 불리언 연산을 사용해.X or Y 는 x나 y 둘중 하나가 True가 되어야 하고. x and y 는 x, y 둘다 True가 되어야 해. not x 라고 하면 반드시 x가 false가 되어야해 elif는 else if 의 줄임말이
for은 뭔가 순차적으로 해야할때 쓴다고 해.예를 들어 여기서 x는 변수이름이야,왜 변수를 사용하냐면 in 뒤에 있는 변수에 들어있는 문자열인 ("one", "two", "three")을 담기 위한 그릇이 되기위해 존재해 그리고 이 변수는 for문이 사용될때 선언된다
파이썬 module이라는 기능의 집합이 내장되어있어.내가 이 모듈을 사용하려면 import 라는걸 해줘야 하는데, import module_name 이게 끝이야. 근데 모듈을 가져올때 필요없는 기능 까지 가져오는건 비효율적이야, 그래서 필요한 것만 가져올수 있는데 f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