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문은 if-else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의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 조건문이 들어있어
조건문은 소프트웨어의 로직(논리)을 컨트롤 하는 방법이야
만약 18세 이하면 술을 마실 수 없다.
라는 것 처럼 " 만약 ~~하면 ~~하다" 같은 일반적인
삶과 비슷해.
def plus(a, b):
if type(b) is str:
return None
else:
return a + b
print(plus(1,"1"))
위 조건문은 원래 인자에 문자열과 정수를 넣었기에 에러가 뜨는 코드였는데 조건문을 넣어줘서 에러가 안뜨고
정상적으로 돌아가.
위 조건문을 해석해보자면
만약 b의 데이터 타입이 문자열일경우,
None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a+b를 출력한다.
이건 결과가 "참"이기 때문에 콘솔에 None이
출력되었어.
조건문에 or, and, is not 등 도 쓸수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