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핵심]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신재원·2022년 12월 26일
0

Spring 핵심

목록 보기
2/19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객체지향이란?

  • 객체들의 모임 , 객체는 메시지를 주고받고, 데이터를 처리하수 있다.(협력)
  • 프로그램을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다.
    •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 ?
    1. 레고 블록 조립하듯이
    2. 키보드 , 마우스 갈아 끼우듯이
    3. 컴포넌트를 쉽고 유연하게 변경하면서 개발할 수 있는 방법
      • 다형성 = 역할과 구현으로 구분
    4. 역할과 구현을 분리
      • 역할과 구현으로 구분하면 단순해지고 , 유연해지며 , 변경도 편리

장점

  • 클라이언트는 대상의 역할(인터페이스)만 알면 된다.
  •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의 내부 구조를 몰라도 된다.
  •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의 내부 구조가 변경되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 자체를 변경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계

  • 역할(인터페이스) 자체가 변하면 , 클라이언트 , 서버 모두에 큰 변경이 발생한다.
  • 인터페이스를 안정적으로 잘 설계 하는 것이 중요

자바 언어의 다형성을 활용

  • 역할 = 인터페이스
  • 구현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 , 구현 객체
  1. 객체를 설계할 때 역할과 구현을 명확히 분리
  2. 객체 설계시 역할(인터페이스)을 먼저 부여하고 , 그 역할을 수행하는 구현객체 만들기

다형성의 본질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 인스턴스를 실행 시점에 유연하게 변경 할수 있다.
  • 다형성의 본질을 이해하려면 협력이라는 객체 사이의 관계에서 시작해야한다.
  • 클라이언트를 변경하지 않고 , 서버의 구현 기능을 유연하게 변경 할수 있다.

역할과 구현을 분리

정리

  • 유연하고 , 변경이 용이
  • 확장 가능한 설계
  •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주지 않는 변경 가능
  • 인터페이스를 안정적으로 잘 설계 하는 것이 중요

스프링과 객체 지향

  • 다형성이 가장 중요하다.
  • 스프링은 다형성을 극대화해서 이용할수 있게 도와준다.
  • 스프링에서 이야기 하는 제어의 역전 (IOC) , 의존관계 주입(DI)은 다형성을 활용해서 역할과 구현을 편리하게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스프링을 사용하면 마치 블록 조립하듯이 구현을 편리하게 변경 할수 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