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이노 LED(발광다이오드) 참고링크
https://m.blog.naver.com/darknisia/220442711262
아두이노 LED 위치
메뉴 > file > Examples > 01.Basics > Blink
업로드 버튼을 누르면 실행이 된다.
스크롤을 아래로 쭉 내려서 코드를 바꿔보자
기존 코드 delay(1000) 에서 1000은 1000밀리세컨드 = 1초 를 말한다.
즉 blink는 led가 1초동안 켜지고 1초동안 꺼지는 코드이다
이렇게 하면 LED가 7초 on > 3초 off 를 반복한다
위 스크린샷 코드 아래 output을 보면 해당 코드로 사용된
아두이노에 장착된 칩의 사용 공간과 최대 공간을 알려준다.
(실질적으로 최대공간을 넘길 일은 거의 없다)
void setup() {
// 핀모드(핀, 모드), 핀은 LED와 연결된 핀 번호, 모드는 OUTPUT(출력), INPUT(입력)
// 여기서 출력과 입력은 아두이노 본체 기준이다 아두이노 본체 기준으로 전류를
// 내보내면 OUTPUT 이다
pinMode(LED_BUILTIN, OUTPUT);
// 아두이노 LED 옆에 보면 13번 핀 자리다 pinMode(LED_BUILTIN 에서
// LED_BUILTIN 을 13으로 바꿔도 같은 코드이다.
}
void loop() {
digitalWrite(LED_BUILTIN, HIGH); // HIGH is the voltage level, HIGH는 5볼트
delay(1000); // LED가 켜져있는 시간을 지정
// 1000밀리세컨드 = 1초
digitalWrite(LED_BUILTIN, LOW); // LOW는 0볼트
delay(1000); // LED가 꺼져있는 시간을 지정
}
delay함수는 해당 시간동안 코드의 진행을 막는 것이다
digitalWrite HIGH/LOW 로 전압을 지정하여 on 또는 off 를 만든 후
delay함수로 코드의 진행을 막아서 해당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