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형
본 실습에서는 아웃풋 핀을 데이터핀 2, 3, 4 번에 연결하였다.
(데이터핀에 연결할 때는 아무곳에나 연결하면 되지만 되도록이면 0과 1번은 피하자
RX TX는 아두이노와 컴퓨터가 서로 통신을 하는 것에 사용되는 것이다.
RX : 컴퓨터에서 오는 신호를 받는 수신부
TX : 아두이노에서 컴퓨터로 신호를 보내는 송신부
이 두 핀에 다른 센서와 같은 것을 연결해 놓을 경우 보드에 업로드가 되지 않는 경우가
간혹 있다)
먼저 보드 설정을 하고
포트 설정
후
메뉴 file > examples > 01.basics > blink
블링크 예제 변형
void setup() {
pinMode(2, OUTPUT);
pinMode(3, OUTPUT);
pinMode(4, OUTPUT); //2, 3, 4 핀을 출력단으로 선언
}
void loop() {
digitalWrite(2, HIGH);
digitalWrite(3, HIGH);
digitalWrite(4, HIGH); //2, 3, 4 핀 3초동안 on
delay(3000);
digitalWrite(2, LOW);
digitalWrite(3, LOW);
digitalWrite(4, LOW); //2, 3, 4 핀 1초동안 off
delay(1000);
}
하나씩 키고 그 역순으로 다시 하나씩 끄는 코드
아래 답 안 보고 스스로 만들어보기 실습.
void setup() {
pinMode(2, OUTPUT);
pinMode(3, OUTPUT);
pinMode(4, OUTPUT); //2, 3, 4 핀을 출력단으로 선언
}
void loop() {
digitalWrite(2, HIGH);
delay(1000);
digitalWrite(3, HIGH);
delay(1000);
digitalWrite(4, HIGH); //2, 3, 4 핀 3초동안 on
delay(1000);
digitalWrite(4, LOW);
delay(1000);
digitalWrite(3, LOW);
delay(1000);
digitalWrite(2, LOW); //2, 3, 4 핀 1초동안 off
delay(1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