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이란 1991년 귀도 반 로섬(Guido van Rossum)이 개발한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프로그래머가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들과 통합 환경을 제공하는 ‘Battery Included’ 개념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고 합니다.인터프리터 기반의
if문을 만들 때는 if 조건문: 바로 아래 문장부터 if문에 속하는 모든 문장에 들여쓰기(indentation)를 해주어야 한다. 오른쪽에서 보는 것과 같이 조건문이 참일 경우 "수행할 문장1"을 들여쓰기했고 "수행할 문장2"와 "수행할 문장3"도 들여쓰기 해 주었다
함수(Function)는 어떤 기능을 수행하기위한 코드의 단위이고, 코드중복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함수의 종류 내장함수 : 파이썬 기본 제공 함수 모듈의 함수 : import를 해서 갖다 쓸 수 있는 함수 사용자 정의 함수 : 직접 만들어 쓰는 함수
1. 함수를 정의 할때 default value parameter를 non-default value parameter 앞에 정의 하면 안된다고 배웠습니다. 왜 안돼야만 하는지 생각해보시고 블로깅 하여 채널에 공유해 주세요.
Python의 자료구조 형태중 하나로 list는 값을 나열하는것이다.또한 list 는 시퀀스 타입들중 하나이기도 하다.데이터를 배열 및 순서대로 관리 할 수 있는다는 것을 의미한다.시퀀스 자료형(순서를 정함) \- string, list, tuple시퀀스 자료형이 아
Slicing > 파이썬에서는 리스트의 일부분을 따로 copy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slicing 이라고 합니다. 문자열 에서도 사용이 가능 합니다. 우선 bts라는 list하나를 선언을 했습니다. 이제 여기서 bts 의 2번째 요소 부터 4번째 요소만 따로 c
Tuple > - list와 거의 비슷하지만 변경 불가능(Immutable)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 슬라이스와 인덱싱등은 지원을 하지만 append, pop, remove등은 지원하지 않음. 한마디로 말해 값을 가져올수 있지만 추가, 수정, 삭제가 불가능 예제를 보면
For문 > 리스트, 튜플, 문자열 등의 자료형의 요소들이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차례대로 변수에 대입되어 수행할 명령들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입니다. for문의 기본 구조 리스트나 튜플, 문자열의 첫 번째 요소부터 마지막 요소까지 차례로 변수에 대입되어 "수행할 문
함수 안에 정의된 함수중첩함수(nested function) 혹은 내부 함수는 는 상위 부모 함수 안에서만 호출 가능합니다. 부모 함수를 벗어나서 호출될 수 없습니다. 위의 코드에서 child_function 함수는 parent_function 안에서만 호출이 가능합니
Assignment 1 > sys.modules 와 sys.path의 차이점을 서술해 주세요. 위 두개의 차이점을 서술하기 전에, 파이썬은 모듈/package를 sys.modules built-in modules sys.path 위의 순서 대로 찾는다. sys.m
Scope > 변수가 선언되어 해당 변수가 영향을 미치는 영역 범위에는 크게 다음 4가지가 있습니다. > * Local Scope Enclosed Scope Global Scope Built-in Scope Local Scope > Local scope을 가지고
데코레이터란 무엇일까요? 사전적 의미로는 "장식가" 또는 "인테리어 디자이너"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름 그대로, 자신의 방을 예쁜 벽지나 커튼으로 장식을 하듯이, 기존의 코드에 여러가지 기능을 추가하는 파이썬 구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데코레이터를 이해하려
Database 최적화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