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v.2 / Programmers / Java] 뒤에 있는 큰 수 찾기

송현진·2025년 4월 30일
0

알고리즘

목록 보기
36/50

뒤에 있는 큰 수 찾기

문제 설명

정수로 이루어진 배열 numbers가 있습니다. 배열 의 각 원소들에 대해 자신보다 뒤에 있는 숫자 중에서 자신보다 크면서 가장 가까이 있는 수를 뒷 큰수라고 합니다.
정수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원소에 대한 뒷 큰수들을 차례로 담은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단, 뒷 큰수가 존재하지 않는 원소는 -1을 담습니다.

제한사항

  • 4 ≤ numbers의 길이 ≤ 1,000,000
    • 1 ≤ numbers[i] ≤ 1,000,000

예시

풀이

각 숫자마다 뒤쪽을 전부 순회하여 큰 수를 찾는다면 입력 길이가 최대 1,000,000이므로 O(N²) 시간복잡도가 발생한다.

그래서 스택을 활용하여 시간 복잡도를 O(N)에 해결할 수 있다.

  1. 스택에는 인덱스를 저장한다.
  2. 배열을 왼쪽 -> 오른쪽으로 탐색하며 현재 값이 스택 top에 있는 값보다 크다면 해당 인덱스는 뒷 큰수를 찾은 것이므로 값을 업데이트한다.
  3. 끝까지 탐색하고도 뒷 큰수를 못 찾은 인덱스는 -1로 처리한다.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umbers) {
        Stack<Integer> stack = new Stack<>();
        int[] answer = new int[numbers.length];

		// 첫 번째 인덱스를 먼저 넣고 시작
        stack.push(0);

        for (int i = 1; i < numbers.length; i++) {
        	// 현재 수가 stack top보다 크다면 그 인덱스는 뒷 큰수를 찾은 것
            while (!stack.isEmpty() && numbers[stack.peek()] < numbers[i]) {
                answer[stack.pop()] = numbers[i];
            }
            stack.push(i);
        }
        
        // 스택에 남아있는 인덱스들은 뒷 큰수가 없음 → -1 처리
        while (!stack.isEmpty()) {
            answer[stack.pop()] = -1;
        }

        return answer;
    }
}
profile
개발자가 되고 싶은 취준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