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pe(*.shp) 파일이 있다. 1990년대 초, ESRI(ArcGIS 만든 회사)가 공간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개발한 파일 형식이다. 이제는 공간정보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포맷이 되었다. 공간과 정보를 분리해 공간데이터는 확장자 shp로 저장하고, 정보데이터는 확장자 dbf(dbase4 형식)로 저장한다. 그 외에 공간과 정보를 연결하는 인덱스 파일 등이 한 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파일 확장자
- shp - This is the main file that stores the geometry of the features (points, lines, or polygons).
- shx - The shape index file. It stores the shape index data, which allows for quickly seeking the position of records in the main .shp file.
- dbf - The attribute table file. It stores tabular data, such as attribute information for the features in the .shp file.
KML(*.kml, kmz) 파일은 공간정보 시각화 회사(키홀, Keyhole)가 개발한 마크업 언어다. 2001년에 개발되어, 2004년 구글이 키홀을 인수하면서 구글 어스 등에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나중에는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의 표준이 되었다. KML은 기본적으로 마크업 언어다. 필요한 데이터들을 태그로 구분하는데, 스타일 태크, 데이터, 폴리콘(포인트) 좌표 태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글 KML 가이드 참조
<Placemark>
<name>4139011200106190016</name>
<Style>
<LineStyle><color>ff0000ff</color></LineStyle>
<PolyStyle><fill>0</fill></PolyStyle>
</Style>
<ExtendedData>
<SchemaData schemaUrl="#map_WGS84">
<SimpleData name="T_CITY">OO시</SimpleData>
<SimpleData name="T_DONG">OO동</SimpleData>
<SimpleData name="T_JIBUN">123-1</SimpleData>
</SchemaData>
</ExtendedData>
<MultiGeometry>
<Polygon><outerBoundaryIs><LinearRing>
<coordinates>
126.835376902207,37.4325543493331
126.835378271539,37.4325431337069
126.835382595103,37.4325550961603
126.835376902207,37.4325543493331
</coordinates>
</LinearRing></outerBoundaryIs></Polygon>
</MultiGeometry>
</Placemark>
온라인에 변환 사이트(광고 붙여놓은 몇몇 사이트) 말고, 어플리케이션 사용을 추천한다. 변환 웹사이트는 완성도가 떨어지고, 레이블 넣는 기능이 없고, 한글이 지원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에는 ArcGIS(유료), QGIS(무료)가 있다.
ArcGIS, QGIS를 Shape파일을 KML로 저장하는 것은 쉽다. 내보내기(export)를 통해 KML로 저장된다. 하지만 특정 필드를 레이블로 나타내고 싶다면 방법이 달라진다. 간단하면서도 간단하지 않다. 다시 말해 한번에 변환되지 않는다. _QGIS와 Google Earth Pro가 설치하고 몇 가지 데이터 처리를 해줘야한다.
Google Earth Pro 데스크탑용 : www.google.com/earth/about/versions
QGIS에서 해야할 일은 2가지다. (1) Shape 파일을 불러와서 폴리곤을 KML로 내보낸다.(좌표는 EPSG:4326) (2) 폴리곤을 포인트로 만들고 레이블이 붙여서 KML로 내보낸다.


🚩 확인버튼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좌표가 설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좌표계를 먼저 설정하고 다시 시도하면 된다. "NameField"는 각 폴리곤의 명칭과 필드명을 매칭하는 부분이다. 입력해도 KML에서 레이블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 중심점을 만들 때, "Feature (0000) from “yourmap” has invalid geometry. Please fix the geometry"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보통 폴리곤이 폐합(closed) 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오류로 보인다. 공간처리 툴박스 ➔ 벡터 도형 ➔ 도형 수정(Fix Geometries)로 오류를 수정한 후 다시 시도하면 된다.

🚩 내보내기(export)하면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NameField"에서 표시하고 싶은 속성값을 반드시 입력해야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KMZ 파일은 구글 어스, ArcGIS Earth 등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파일 포맷이 구글 표준인 만큼, 지원하는 모바일앱도 있다. 모바일의 경우 데이터양이 많은 경우 간혹 프로그램이 강제 종료되기도 한다. 줌아웃(Zoom out)을 심하게 하면 한번에 보여주는 데이터가 많아서 그런 것이므로 적당히 줌인(Zoom in)해서 사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