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원격데스크톱 사용하기

IOVEIT·2023년 9월 26일
0

어렵진 않다. 설정이 4가지다. 하지만 하나라도 빠지면 접속되지 않아 혼란에 빠질 수 있다. 이 벨로그는 윈도우 10에서 원격데스크톱을 활성화할 때, 깜빡하지 않도록 순차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요약하자면 원격데스크탑 활성화 → 레지스트리 수정 → 방화벽 오픈 → 공유기 설정 순이다.

1. 원격데스크톱 활성화 : 시작 > 설정 > 검색 - "원격데스크톱"

검색에서 원격데스크톱을 찾으면 위와 같은 그림의 메뉴가 나온다. 윈도우즈 HOME edition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기능이다. PRO 버전인지 확인하도록 하자. 이 설정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다.

2. 레지스트리 포트 변경 : 시작 > 실행 > regedit

(1) 컴퓨터 → HKEY_LOCAL_MACHINE → SYSTEM → CurrentControlSet → Control → Terminal Server → Wds → rdpwd → Tds → tcp

(2) 컴퓨터 → HKEY_LOCAL_MACHINE → SYSTEM → CurrentControlSet → Control → Terminal Server → Winstations → RDP-Tcp

포트를 변경하려면 레지스트리 2곳을 수정해야 한다. 2곳에 모두 PortNumber라는 이름이 있고, 이걸 더블 클릭하고, 10진수를 누르면 3389로 표기되어 있는 걸 알 수 있다. 다른 포트로 변경하자.

3. 방화벽 규칙 추가 : 시작 > 찾기 - "고급 보안이 포함된 Windows Defender 방화벽"

레지스트리를 통해 원격데스크톱의 포트를 변경하였다면 그 포트를 방화벽에서도 허용하자. 윈도우 방화벽은 알려지지 않은 포트로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다.

4. 외부에서 접속할 때는 공유기 포트 포워딩

공유기마다 설정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공유기 사용법을 익혀서 포트 포워딩 방식으로 처리한다. 하드웨어 방화벽을 사용하는 경우 새로운 규칙을 추가한다.

profile
EnCoCookLand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