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 껍데기 서비스로 월 4천만원 버는 베트남 개발자 이야기

사이드허슬러스토리·2023년 9월 20일
85

아래 글은 사이드허슬러스토리 뉴스레터에 발행된 글입니다.
다른 글 or 전체 내용을 보시려면 👉 뉴스레터 둘러 보기

안녕하세요! 사이드허슬러스토리입니다. 🤓

오늘은 베트남에서 혼자서 2일만에 개발한 ChatGPT 껍데기 서비스로 월 4,000만원 버는 Tony Dinh 이야기를 준비했습니다.

Tony는 퇴사 후 단 3년 만에 베트남 월 평균 임금의 166배를 벌고 있습니다.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그의 지난 3년을 핵심만 정리해서 이 뉴스레터에 담았습니다. 🧐


시작: 사이드 프로젝트 for 재미+취업 😆💼

Tony는 7년간 개발자로 일하면서 언제나 사이드 프로젝트를 병행했다고 하는데요. 사이드 프로젝트로 돈을 벌겠다는 생각보다는, 무언가 만드는 것이 그냥 재미있었고, 언젠가 취업과 이직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 계속해왔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난 뉴스레터의 Damon과 마찬가지로 2020년 팬데믹에 재택근무를 시작하면서 개인 시간이 많아지자, 사이드 프로젝트를 더욱 진지하게 시작했다고 합니다.


선 퇴사 😎, 후 개발 👨‍💻

Tony는 2021년 8월에 퇴사했습니다. (마지막 회사: Zendesk)
당시 그는 월급 외에 소득이 없는 상태였지만, 아래의 이유로 퇴사를 감행합니다.

  1. 구현하고 싶은 제품 개발 아이디어가 너무 많았고,
  2. 모든 것이 실패했을 때를 대비한 백업 플랜(다시 개발자로 취업)도 있었으며,
  3. 와이프와 자녀가 없는 상태였고,
  4. 2년간 쓸 수 있는 생활비를 저축해 둔 상태였으며,
  5. 무엇보다 자기 자신을 믿었습니다. 😎

Tony의 연봉 히스토리 💸

  • 특이점 1: 3년 차에 시니어 개발자로 진급 🚀
  • 특이점 2: 베트남에서 $3,500 🇻🇳 → 싱가포르에서 $6,980 🇸🇬
  • 특이점 3: 연봉 $8,800 포기하고 $300로 살아간 사자의 심장 🦁
  • 특이점 4: 현재 연봉 약 $500,000 (2023년 9월 기준) 💰

풀스택 개발자의 풀스택 제품 라인업 🤹

지난 뉴스레터의 Damon과 Tony는 나이와 개발자 경력(각각 8년, 7년)이 비슷한데요. Damon은 8년간 한 회사에서 리눅스 커널과 C++만 사용해 온 찐 백엔드 개발자였지만, Tony는 7년간 여러 회사에서 프론트엔드, 백엔드, 모바일 개발자로 일하며 다양한 제품들을 만들어 온 찐 풀스택 개발자였습니다.

때문에 Tony가 사이드 프로젝트로 만든 제품들도 MacOS 앱, 크롬 익스텐션, 웹 앱, 모바일 앱 등 굉장히 다양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위의 제품 목록에서 ✅ 표시된 제품들의 성장 이야기를 시작해볼게요!


첫 성공: DevUtils.com 🛠️

DevUtils는 오프라인 개발자 도구(macOS 앱)입니다. 개발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코드 변환 등의 편의 기능들이 모인 앱인데요, 가끔 구글링하는 기능들이 모여있어서 저도 무료 티어로 사용하는 유용한 툴입니다. 🤓

👆 DevUtils 유료 티어 기능 중 하나인 Json to Object

Tony는 이 제품을 퇴사하기 전인 2020년부터 본인이 필요해서 사이드 프로젝트로 만들어왔고, 여전히 매일 사용한다고 합니다.

나에게 필요한 것을 개발했는데 돈이 (많이)들어온다.. 이거 모든 개발자의 로망 아닌가요? 😅

이 제품은 Tony의 다른 제품들에 비해 특별한 것은 없지만, 꾸준히 판매되어 현재는 $5,500 MRR(Monthly Recurring Revenue, 월 수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Q. Pricing 기준은? (lifetime purchase인 제품들이 많은 것 같다)

DevUtils처럼 서버 비용이 들지 않고, 내가 더 이상 개발하지 않아도 되는 제품들은 lifetime purchase로 만들고, BlackMagic처럼 서버 모니터링도 해야 하고, API 비용과 관리 비용이 많이 드는 경우에는 구독제로 만들었다. - Tony Dinh

잘 읽고 계신가요? 🙃 무료로 뉴스레터 구독하시고 편하게 받아보세요 🗞️


Cool & Free 제품으로 바이럴 타기: BlackMagic 🎩

최초의 BlackMagic은 Twitter 배너를 꾸미고, Twitter 프로필 사진에 팔로워 progress bar를 붙일 수 있는 단순한 툴이었습니다. 그리고 Tony는 이 툴을 Twitter 팔로워를 늘리기 위해 재미로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의 반응이 좋자, Tony는 더 재미있는 기능들을 붙여나가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프로필 배너에 최근 팔로워 3명의 사진을 넣을 수 있는 기능을 알리는 트윗에 무려 2,146개의 좋아요가 찍힙니다. (평소에 좋아요는 100개 미만)

그리고 이 기능 덕분에 48시간 만에 팔로워 4,000명이 증가했습니다! 😱 (원래 팔로워는 1,000명 미만)

Tony는 여기서 멈추지 않았습니다. Tony의 트윗에 ➡️ ⬅️ ⬆️ ⬇️ 으로 댓글을 달면 실시간 Snake game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고, 이 기능 역시 바이럴되었습니다. 🏄‍♂️

Tony는 이런 cool한 기능들을 BlackMagic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추가했고, Twitter Real-time Banner라는 이름으로 Product Hunt에 런칭했습니다.

그 결과, 무려 1,300개의 Upvote를 받고 Product of the day 1위와 Product of the week 4위를 달성합니다. 😱

📌 Tony는 어느 인터뷰에서 1인 개발 제품의 성공 공식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습니다.

  1. First, build a cool free product and get free users.
  2. Build an audience & build in public.
  3. Pivot to a useful paid product, convert the free users and your audience.

지금까지 Tony는 BlackMagic으로 위 공식의 2단계까지 성공적으로 수행했습니다. Tony가 3단계는 성공적으로 해냈을까요?

Tony의 기발한 전략으로 60일 만에 BlackMagic 월 수익은 7배 증가($300 → $2,164) 했고, 이때부터 BlackMagic의 매출은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 Tony의 기발한 구매 전환 전략은 내용이 많아서 프리미엄 컨텐츠에 담았고, 뉴스레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BlackMagic을 1억 7천만원에 팔 수 밖에 없었던 드라마 🎬

BlackMagic이 잘 성장해가던 2023년 2월, Tony에게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 전해집니다.

Twitter가 더 이상 무료 티어의 API를 제공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입니다. 그리고 새로운 API 가격 정책을 무려 $42,000/월로 바꾸어 버립니다. 😱

기존에 BlackMagic이 지출하던 API 비용은 월 $100~200 정도였다고 하는데요, BlackMagic의 MRR은 $14,000였기 때문에 새로운 API 가격을 감당할 수 없었습니다.

📌 웃긴 사실은, 트위터가 API 가격을 올린 이후에 API 가격을 지불하지 않은 서비스들의 API를 바로 끊어버리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고, 이 문제가 트위터 전체 장애로 발전해서 기존 API를 몇 주간 더 사용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

Tony에게는 3가지 해결 방안이 있었습니다.

  1. 제품을 아예 팔거나,
  2. 누군가 만든 비공식 Twitter API를 사용하거나,
  3. 트위터 메이커 커뮤니티의 멤버들과 모여서 하나의 회사를 만들고, API 비용을 한 번만 내고 API key를 나누어 쓰는 것.

하지만 Tony는 비공식 API를 사용하거나 API key를 쉐어하는 것은 트위터 정책을 위반하는 것이라 장기적인 해결책이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결국 Tony는 BlackMagic을 어쩔 수 없이 팔기로 결심했습니다.

트위터가 API를 끊어버리기 전에 BlackMagic을 팔아야 한다는 시간 압박 속에, Tony는 단 3명의 잠재 구매자와 대화하고 그 중 다른 트위터 SaaS를 만들어 온 HypeFury에게 판매를 진행했고, 2주만에 거래가 완료되었습니다.

판매 가격은 $128,000* 😧

불과 3개월 전에 BlackMagic을 $500,000에 인수하겠다는 제안도 거절(→ 프리미엄 컨텐츠에 상세한 이야기를 담았어요)했었는데, 3개월 전에 거절했던 인수 가격의 ¼ 가격에 제품을 팔게 된 것입니다. 😭

하지만 슬픈 드라마는 여기서 시작됩니다.

👆 Twitter(X)의 새로운 가격 정책

BlackMagic를 팔고 1개월 후에 Twitter가 새로운 API 가격 정책을 발표했고, BlackMagic에 필요한 API 가격이 $42,000 → $5,000으로 변경된 것입니다. 🤭

월 수익이 $14,000이었기 때문에 $5,000의 API 가격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이미 BlackMagic은 1개월 전에 남의 손에 넘어갔습니다..😭

📌 이 슬픈 드라마를 계기로 Tony는 새로운 제품을 개발할 때 Platform Risk도 신경 쓰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뒤에서 소개할 TypingMind라는 ChatGPT 제품을 만들 때에도 OpenAI의 API 가격 변경에 휘둘리지 않도록 제품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

무료로 구독하시고 편하게 받아보세요 🗞️


2022년에 스크린샷 앱을 만든다고? Xnapper 📸

Tony의 세 번째 성공 제품은 스크린샷 앱 Xnapper입니다. 네, 2022년에 스크린샷 앱을 만들었습니다. 😵‍💫

눈치채셨겠지만, 이 글의 스크린샷 이미지들은 모두 배경색이 있습니다. Xnapper같은 스크린샷 앱을 사용해서 편집했기 때문입니다.

Xnapper는 스크린샷을 찍으면 바로 이미지를 편집/관리할 수 있는 macOS 앱입니다.

이렇게요 👇

👆 스크린샷을 찍으면 이 화면이 바로 떠서, 빠르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Tony는 왜 스크린샷 앱을 만들었을까요? 이유는 단순했습니다.

트위터에서 Tony의 스크린샷을 본 사람들이 스크린샷을 어떻게 찍었는지 계속 물어봤거든요.

그런데 Tony는 어떤 앱을 사용한 것이 아니라, 그저 맥북 기본 배경화면에 찍을 대상을 놓고 찍은 것뿐이었습니다. 😂

Tony는 사람들이 스크린샷에 배경을 넣고 싶어한다는 사실을 캐치하고, 스크린샷을 찍으면 가장 빠르게 편집기를 띄워줄 수 있는 native macOS 앱인 Xnapper를 만들었습니다.

스크린샷은 기능은 1988년에 출시된 Mac OS System 6부터 존재했습니다. 심지어 단축키도 똑같이 Cmd + Shift + 3/4 였습니다. 스크린샷 기능이 제공된 지 35년이 지난 2022년에 스크린샷 앱을 만들면 팔리기나 할까요?

네, 팔렸습니다. 그것도 엄청! 😱 
Tony는 Xnapper를 프로덕트 헌트에 런칭했고, 결과는👇

👆 2022년 디자인 프로덕트 3위🥉, 이달의 프로덕트 2위🥈, 오늘의 프로덕트 1위🥇

  • 🥇 프로덕트 헌트 1위 (Product of the Day)
  • 🔺 1,428 upvotes
  • 🌐 6,200명 웹사이트 방문
  • 💳 164개 판매
  • 💵 $4,212 수익
  • 💸 $69.63 환불

2022년 8월에 출시한 Xnapper는 2023년 9월 현재 MRR $6,000을 넘기며 꾸준히 팔리고 있습니다.

5번이나 프로덕트 헌트 1위 등극한 Tony의 런칭 전략은, 뉴스레터에서 배포될 예정입니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


ChatGPT 껍데기로 매 달 4천만원 벌기: TypingMind 🧠

앞서 말씀드린 대로 Tony는 주로 본인이 겪는 문제를 해결하는 제품을 만들어왔습니다. 2023년 3월에 개발한 TypingMind도 본인에게 필요한 제품을 만든 케이스입니다.

Tony는 ChatGPT를 많이 활용하고 있었는데, 크게 3가지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 (당시에는) ChatGPT를 사용하기 위해 매일 로그인 해야 했고,
  • (당시에는) ChatGPT의 답변 속도가 느렸으며,
  • (여전히) 과거 대화를 검색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처음에는 크롬 익스텐션을 만들려 했습니다. 그런데 2023년 3월 1일에 OpenAI에서 ChatGPT API를 공개했습니다. 뚜둥!

👆 2023년 3월 1일에 공개된 ChatGPT API

API가 공개되었다 = ChatGPT를 활용한 제품을 개발할 길이 열렸다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Tony는 바로 다음 날 도메인(TypingMind.com)부터 구매했다고 합니다. (도메인 이름은 ChatGPT에게 추천받았다네요 🙃)

그리고 API가 공개된 지 5일 뒤인 3월 6일에 TypingMind 첫 버전을 공개했습니다. ㄷㄷ

👆 API가 공개된 지 5일만에 공개한 TypingMind 첫 버전

그리고 트위터에 공유했더니,

총 27만 5천 뷰 + 좋아요 1000개 가까이 찍히며 바이럴 되었고, 그 이후 TypingMind는 미친 듯이 팔려나가기 시작합니다. 🚀

  • 3월 7일 하루에만 $1,000 수익
  • 3월 8일 하루에만 $2,000 수익
  • 3월 9일 하루에만 $4,000 수익
  • 3월 10일 하루에만 $10,000 수익
  • 3월 11일 하루에만 $22,000 수익 (Product Hunt 런칭 및 1위 달성)

Tony는 2023년 3월 2일 목요일에 도메인을 사두고 다른 일을 하다가, 3월 4일과 5일 이틀에 걸쳐서 약 10시간 동안 TypingMind를 개발하고 3월 6일에 공개했고, 그 뒤로 5일 만에 5천만원의 소득을 올렸습니다. 💰

이 때부터 계속 성장한 TypingMind는 2023년 9월 기준 MRR $30,000을 넘어섰습니다.

📌 Tony가 이렇게 빠르게 개발하고, 빠르게 바이럴을 태우고, 빠르게 많은 수익을 빠르게 얻은 비결은, 지난 3년간 쌓아온 제작 경험과 코드와 트위터 팔로워들 덕분이 아니었을까요?

📌 아무도 관심 없고 아무도 구매하지 않는 제품을 만들더라도, 제작 경험과 코드는 쌓이고, 다음 제품을 만들 때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품은 실패하더라도 메이커의 생산성은 향상되기 때문에 포기하지 않고 계속 시도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요 💪 더불어 audience까지 쌓아간다면? 👍👍

TypingMind가 뭐길래 이렇게 잘 팔리는지 궁금한 분들도 계실텐데요,

TypingMind는 대단한 성능의 AI 프로덕트가 아니라, 사용자가 본인의 API key로 ChatGPT를 사용할 때 그 중간에서 몇 가지 편의를 제공해주는 웹 클라이언트에 불과합니다.

때문에 아키텍쳐도 Static 웹 앱 + 클라우드 Sync 서버 + MySQL + 이메일 SMTP 서버가 전부일 정도로 단순하다고 합니다.

AI 제품을 개발한다면 AI 관련 논문들을 읽어야할 것 같은 느낌인데, 실제로 AI로 돈을 (많이) 버는 1인 비즈니스들은 기술 자체보다 사람들의 문제 해결에 집중한 경우가 많더라구요. 🤓

Tony의 다음 제품은 무엇일지 개인적으로 정말 궁금한데요.
Tony는 TypingMind의 성공 이후에 개발 외의 모든 잡무들을 도와주는 정직원을 고용해서, 하루에 4시간만 일하고 매일 서핑한다고 하네요. 🏄‍♂️ (너무 부럽다 😭)

👆 매일 오전에는 서핑하고, 오후에 4시간만 일하고도 월 수입 5,500만원의 부럽토니..


📌 훨씬 더 재미있고 유익한 뒷 이야기들이 궁금하신가요?

사이드허슬러스토리 뉴스레터🗞️의 프리미엄 컨텐츠에는 다음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Tony가 제품 개발에 활용한 기술 스택 🛠️
  • 60일 만에 월 수익을 7배 증가시킨 베타 테스팅 전략 ($300 → $2,164) 📈
  • BlackMagic 인수 제안(7억 원)을 거절한 뒷이야기와 이 과정에서 배운 것들 👋
  • Tony가 구매 취소율 80% 위기를 극복한 방법 🏋️‍♂️
  • 5번이나 프로덕트 헌트 1위 등극한 Tony의 런칭 전략 🥇 (별도 발행 예정)

지난 뉴스레터 🗞️ 읽기

profile
1인 비즈니스들의 성공 과정을 소개합니다.

8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9월 22일

너무재밌어요 ㅎㅎ

1개의 답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9월 23일

정말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답글 달기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9월 24일

직장 히스토리 때 연봉 $8800 이 아니라 월 $8800 이네요. 이미 능력자 근로소득자였던

답글 달기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9월 24일

너무 재밌게 읽었습니다 !!

답글 달기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9월 25일

DevUtils는 처음 나올 때부터 쓰고 있었는데 여기서 봐서 신기하네요. 그 때는 오픈소스로 해놔서, 다운 받아서 직접 Xcode로 빌드해서 쓰면 무료고, App Store에서 빌드된 버전을 설치해서 쓰면 0.99달러인가 였던 걸로 기억하네요.

1개의 답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9월 26일

이게 개발자지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