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ML 요소에게 '이름'을 주는 첫번째 방법
<p class="big-blue-text centered-text">내용</p>
<style>
.big-blue-text {}
.centered-text {}
</style>
클래스를 잘 활용해야 좋은 html, css를 쓸 수 있다.
HTML 요소에게 '이름'을 주는 두번째 방법
<p id="best-text"></p>
<style>
#best-text {}
</style>
묶어주고 싶은 요소들을 div태그로 감싸기. div태그는 요소들을 묶어주는 것 외에는 별 다른 기능이 없다.
<div>
<h1>내용</h1>
<p>내용</p>
</div>
프로그래밍 할 때 반복적인 코드는 피해야한다.
css 파일을 생성하면 html과 연결해야한다.
📁 css
📘 style.css
<head>
<link href="css/style.css" rel="stylesheet">
</head>
href : 연결시킬 파일의 주소
rel : relationship의 줄인말. css파일과 html 간의 관계를 적어주면 된다.
외부 CSS 파일을 작성하고 link태그로 연결하는 것을 추천한다. 보기에 깔끔하고, 여러 파일에서 같은 코드가 있는 경우 외부 파일 하나로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1. style 태그
<style> </style>
2. style 속성
<h1 style="color: red; font-size:72px;>내용</h1>
3. 외부 css + <link> 태그
⭐️ 간단하게 이 스타일들이 어울리는 지 확인,테스트 하고 싶을 경우에는 1번과 2번 사용하기 좋음. 하지만 확인한 후에는 외부 css 파일과 link태그를 이용해 연결하는 것이 좋다!
html의 경우
<!-- 머리말 -->
css의 경우
/* 머리말 */
💡 한 줄 코멘트 단축키 ctrl + /
💡 여러줄 선택 후 코멘트 단축키 ctrl + shift + /
크롬 브라우저 도구 -> 개발자 도구 -> Elements
user agent stylesheet은 브라우저에서 제공해주는 style ! 이 곳에서 밑줄이 그이면 쓰이지 않았다는 뜻
computed은 실제로 이 요소에 입혀진 style들만 정리되어 나타내준다.
⭐️ Stack Overflow에 질문을 할 때 jsfiddle.net에 코드를 작성하고 링크 복사 후 붙여넣은 뒤 질문을 하면 사람들이 코드를 확인하고 답변해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