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기초 - 3

봄비·2021년 12월 31일
0

web-publishing

목록 보기
3/10
post-thumbnail

01. 텍스트 색

  • 색 이름
color : orange; 
  • RGB 값
color : rgb(83, 237, 65);
  • HEX 값(16진법)
color : #61F96B;

💡 색상에 투명도를 적용할 때 : hex 코드 6글자 뒤에 FF 추가하면 가장 불투명하게, 00을 추가하면 투명하게 적용된다.


02. 몇 가지 텍스트 스타일링

font-weight : 텍스트 굵기

  • 400 보통 굵기
  • 700 b태그와 같은 굵기
font-weight : 400;

⭐️ font-weight는 100,200,300 이런 식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110 같은 제공하지 않는 숫자를 사용할 경우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font나 브라우저마다 지원되는 굵기가 다 다르기 때문에 미리 사용해보면서 판단해야한다.

text-align : 텍스트 정렬

  • left : 왼쪽 정렬
  • right : 오른쪽 정렬
  • center : 가운데 정렬

⭐️ 일반적으로 왼쪽 정렬

text-align : center;

text-decoration : 텍스트 밑줄

  • underline : 글에 밑줄
  • overline : 글 위에 밑줄
  • line-through : 글을 지우는 줄
  • none : 줄 없애주라는 것
 a { 
 	text-decoration : none;
}

💡 text-decoratio-color: 색상 <- 이렇게 하면 텍스트 데코레이션 컬러 변경 가능


03 가운데 정렬이 안 될 경우!

a 태그의 경우 가운데 정렬이 안 될 수도 있는데, 이는 a태그가 화면의 전체를 차지 하는 게 아닌 글이 있는 만큼만 차지하기 때문에 가운데 정렬이 안 될 수 있다. -> a 태그를 div로 감싸서 설정해주면 된다. ( div 태그는 화면 전체를 차지하기 때문 )

<div class="menu">
	<a href="#">Link</a>
</div>

.menu {
	text-align: center;
}

💡 # Hash는 페이지의 가장 위를 가리킨다.


04 폰트 크기

absolute 절대적인 방법

  • px
  • pt : px의 1.33배의 크기

Relative 상대적인 방법

  • em : 1em(100%), 2em(200%), 1.5em(150%) ...
  • % : 부모 요소의 font 크기를 기준으로 한다.
<body>
	<div1>
    	<div2>
        	<div3>
            </div3>
        </div2>
    </div1>
</body>

.div1 {
	font-size : 100%  // body font-size의 100%
}
.div2 {
	font-size : 200% // div1 font-size의 200% (2배)
}
.div3 { 
	font-size : 200% // div2 font-size의 200%
}

05. line-height

line-height을 사용하면 줄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위 사진의 파란 줄 사이가 'content area(콘텐츠 영역)' 이고, line-height는 'content area'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위의 사진 처럼 line-heght를 99px로 설정하면 content area보다 40px 많기 때문에 위 아래로 20px의 공간이 추가로 생긴다.

만일 line-height를 40px로 설정하면 'content area'보다 19px이 적기 때문에 위 아래로 -9.5px의 공간이 줄어든다.


06. 폰트 설정

  • Serif : Times New Roman, 궁서체
  • Sans-Serif : Arial, 굴림체
  • Monospace : Courier, Courier New
  • Cursive : Comic Sans MS, Monotype Corsiva
  • Fantasy : Impact, Haettenschweiler

폰트 설정은 font-family !

h1 { 
	font-family : "Times New Roman(제1의 폰트)", Times(제2의 폰트), 
    	serif(설치되어 있는 폰트 찾으려고 함);
}

07. 폰트 사용하는 방법


1. 웹폰트 사용하기

💡 fonts.google.com : 구글에서 제공하는 폰트 -> 추가 -> link tag 복사 -> head태그에 붙여넣기

💡 fonts.google.com/earlyaccess : 베타 출시 폰트 모음 -> ctrl + f korean을 찾은 뒤 -> 주소 부분 복사 -> link 태그에 붙여넣기 -> font family에 적용

2. 폰트 파일 사용하기_

css 파일에 아래의 예시 작성

📁 test
	📁 css
		📔 style.css
    📁 fonts
    	📔 BMJUA_otf.otf 

@font-face {
	src: url("../fonts/BMJUA_otf.otf")
    font-family: "Jua";
}

08. span 태그

span tag와 div tag

  • 공통점 : 요소들을 묶어준다
  • 차이점 : div tag는 글을 새로운 줄로 놓아주고, span tag는 줄이 바뀌지 않음.
<p>내용<span class="red">내용</span></p>
profile
기록하고 더 나아가기를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