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열심히 공부중입니다😇

도커 이미지 빌드, NAS에서 실행

NAS(Network Attached Storage)에 웹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과정

2023년 2월 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Grinder Read timed out 오류 해결과정

성능 측정을 목적으로 Vusers을 10이상으로 늘려 테스트를 하였더니 Read timed out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오류를 어떻게 해결하였는지 기록하였습니다.

2022년 10월 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Jenkins Pipeline 구성하기

jenkins의 pipeline 기능을 사용하면 배포 프로세스의 관리가 편하고, 어디서 오류가 생긴 것인지 쉽게 발견 가능합니다. Springboot 프로젝트를 빌드하여 배포하는 과정을 pipeline으로 구성해보고자 합니다.

2022년 9월 2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cp 사용하여 원격 서버에 배포하기

scp 명령어를 사용하여 script로 배포할 원격 서버에 SSH접속을 시도하여보았습니다.

2022년 8월 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ystemd설정 및 배포

프로세스를 실행한 터미널의 세션 연결이 끊어져도 지속적으로 동작하도록 systemd를 사용하여 설정해보았습니다.

2022년 7월 2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wagger UI 사용하기

프로젝트가 커질수록 API 문서의 관리가 어렵고 귀찮아지기 때문에 API 문서화 기능을 제공하는 Swagger UI라는 툴을 사용해보았습니다.

2022년 4월 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성능 개선하기

Redis캐시와 스케일아웃으로 대용량 서버 프로젝트의 성능을 최적화한 결과를 nGrinder와 pinpoint 로 확인해보았습니다.

2022년 4월 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성능 개선 방법 찾기

nGrinder와 pinpoint를 사용하여 테스트한 결과를 통해 병목 원인을 분석하고 성능 개선 가능한 방법이 무엇인지 찾아보았습니다.

2022년 3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ginx로 Load Balancing하기

nginx를 사용해 로드밸런싱을 진행하여 스케일 아웃을 실제로 구현해보았습니다.

2022년 3월 1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Grinder를 이용한 성능테스트

실제로 트래픽을 받았을 때 성능이 어느정도까지 도달할 수 있는지 nGrinder을 사용하여 측정해보았습니다. 이 글은 nGrinder controller/agent의 설치 과정과 Groovy Script를 작성해 테스트를 실행한 결과를 담고 있습니다.

2022년 2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MYSQL 더미 데이터 넣기

성능 테스트를 진행하기 전, 좀 더 유의미한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짜 데이터인 `더미테이터`를 DB에 넣어보았습니다.

2022년 2월 1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CD 설계하기 with Jenkins, Docker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질수록 코드 검증과 배포를 자동화해주는 CD가 빛을 발합니다. 특히 스케일 아웃으로 서버 성능을 높일 예정이었던 프로젝트에 CD구축이 필요하다 생각하였고 이 과정을 기록해보았습니다.

2022년 2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CI 설계하기 by Jenkins

프로젝트의 규모가 클수록 코드 작성부터 통합까지의 단계를 자동화해주는 CI의 필요가 커집니다. CI툴로는 Jenkins를 이용하였고, jenkins에 접속하여 설정하는 과정을 정리하였습니다

2022년 2월 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Redis내부에 session 저장/삭제

redis에서 session이 어떻게 저장되고 삭제되는지 확인해 보았습니다.

2022년 2월 2일
·
1개의 댓글
·
post-thumbnail

Redis vs Memcached

In-memory DB인 Redis와 Memchaced중에서 세션 저장소로 어떤 것이 적합할지 비교해 보았습니다.

2022년 1월 2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세션 불일치 문제 해결방법

스케일 아웃으로 서버의 저장소가 여러 대로 분산되면서 로드밸런싱을 통해 부하를 분산 처리해야 하는데, 이 때 세션 불일치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2021년 7월 2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단위테스트에서 @SpringBootTest 사용하지 않기

단위테스트에서 @SpringBootTest가 적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2021년 7월 22일
·
0개의 댓글
·

스프링 빈(Bean)

인프런 백기선님의 '스프링 프레임워크 핵심 기술'을 듣고 스프링 빈에 대해 정리한 글입니다.

2021년 7월 5일
·
0개의 댓글
·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인프런 백기선님의 '스프링 프레임워크 핵심 기술'을 듣고 DI에 대해 정리한 글입니다.

2021년 7월 5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