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 그래프를 더 다양한 방식으로 그려볼 수 있다.

wedgeprops{} : 원 그래프의 속성을 정의하는 곳'width' 속성을 지정하여 각 파이의 부채꼴 반지름을 조절할 수 있음.
'edgecolor', 'linewidth' 속성으로 테두리 색깔, 테두리 두께도 조절할 수 있음.
'pctdistance' 속성으로 비율이 표시될 위치(원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음.
plt.pie()의 세부 설정 시, 입력값을 함수로부터 반환받아서 더 자세한 설정도 가능!autopct 매개변수에 입력되는 값들은 그 함수를 통해서 입력되도록 설정함! → ETC는 비율 표시 없이 그려짐 ㅎㅎ

groupby)를 활용해서 데이터의 비율을 원 그래프로 그릴 수 있음.
❓어떤 속성은 그냥 plt.pie()에 집어넣고, 어떤 속성은 또 wedgeprops 객체를 거쳐서 넣어주는데... 어떤 기준으로 나뉘는 걸까? 그냥 개발자 마음이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