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camp - 프로젝트 마무리

ryan·2022년 9월 19일
0

시연 영상 바로가기


⚽ 초기 목표와 결과 비교

⭕ 달성한 것

recoil에 대한 이해

  • recoil에 내장된 훅을 대부분 사용해보았고, recoil이 왜 react에 최적화된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인지 이해할 수 있었다.
  • 이전에 redux를 사용해봤기 때문에, redux와의 장단점을 비교해볼 수 있었으며 각 라이브러리는 전역 상태 관리에서 어떤 점을 중점적으로 바라보았는지 그리고 전역 상태 관리가 왜 중요한 지 다시 한 번 학습했다.

react에 대한 이해

  • next.js를 사용했던 이전 프로젝트와는 다르게 순수 react로 프로젝트를 완성했다. CSR과 SSR의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었다.
  • react-router-dom, react v18의 훅 등을 깊게 이해해볼 수 있었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려고 노력했다.
    • 특히,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react-router의 location을 활용하여 params를 기반으로 전역 상태를 관리하고 제어하였는데, 개인적인 체감으로는 코드가 직관적이고 분산되지 않아 좋다고 느꼈다.

    • react v18의 Suspense의 경우, recoil 때문에 사용하게 됐는데 비동기 작업 시 로딩창이라거나, 로딩 스피너 등을 suspense를 활용하여 간단하게 띄울 수 있어서 앞으로의 코딩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느꼈다.

      • Suspense와 react lazy를 통해 코드 스플리팅을 적용할 수 있다고 학습하였고, 다음 프로젝트에서 활용해보고 싶다.

css

모바일, 브라우저 대응

❌ 달성하지 못한 것

recoil의 장점 극대화

  • recoil의 장점이자 단점이라고 평가되는 캐싱 기능에 대해서는 깊게 연구해보지 못했다.
  • selector가 구독하고 있는 atom이 변하지 않는다면 같은 불필요한 API를 요청하지 않고, 캐싱된 값을 반환해주는 원리인데, 이를 활용하여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지만, 반대로 특정 시간, 특정 조건에 값을 갱신해야 하는 상황을 재현하지는 못했다.
  • redux에서 recoil이나, react-query로 넘어가는 이유 중 하나가 캐싱 부분(RTK도 query기능을 지원한다)인데 recoil에서 이 부분을 적극적으로 실험해보지 못한 점이 아쉽다.

성능 관리

  • 성능 측정에 대해서는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중간에 협업을 하던 백엔드 개발자분의 부재로 인해 배포로 연결되지 못하여 제대로된 성능을 측정해볼 수 없었다는 점이 아쉬웠다.
  • 브라우저로도 충분히 가능했을 것 같지만, 기능 구현에 초점이 더 맞춰져 있었기 때문에 성능 측정에 대해 신경을 쓰지 못했던 것 같다.
  • 재렌더링에 대해서는 최대한 신경을 썼던 것 같다. 전역 스코프에 console을 찍어보면서 재렌더링이 되는 횟수와 그 원인에 대해 최대한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 예를 들어, 내가 생각하는 특정 상호작용에서의 재렌더링 횟수와 실제 재렌더링 횟수가 차이난다면 그 원인을 무조건적으로 짚고 넘어갔다.
  • useEffect를 굉장히 많이 사용한 프로젝트였는데, useEffect가 unmount될 때 clean-up함수를 작성해보지 못한 것도 아쉽다. 당장의 기능 상에서는 큰 문제가 없었기 때문에 넘어갔지만, unmount상황에서 useEffect의 실행으로 인해 의도하지 않은 동작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코딩에서 신경써야 하는 문제이다.

pwa 못해본 것

  • 이 또한 백엔드 개발자 분의 초반 탈퇴로 인해, 배포까지 이어지지 못했기 때문에 PWA는 포기했다. 하지만 PWA 전환은 크게 어려워 보이진 않아서 다음 프로젝트 때 해보고 싶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답게 코딩하는 것

  •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정의내렸던 성능, 코드 가독성, 객체/함수 지향적을 의식하며 코딩한다는 목표에 만족할만큼 하지 못했다.
  • 코드 가독성에는 신경을 굉장히 많이 썼고, 함수와 컴포넌트를 계속해서 분리하며 코드의 응집도라거나 재사용성에 대해서는 코딩 초보인 것치고는 자신있다고 생각하지만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신경쓰지 못했다. 정확히는 어떻게 해야할 지 감이 잘 안 잡혔다.
  • 디자인 패턴은 알지만 어떨 때 사용해야 하는지, 내가 짠 알고리즘 코드가 효율적인지, 어떤 코드가 객체/함수 지향적인지 아직은 잘 모르겠다. 이 부분은 실 서비스에서 운용되는 코드를 보면 쉽게 이해될 것 같은데 좀 아쉽다.

🖐 구현한 기능

로그인 / 회원가입

  • 이제는 사용에 익숙해진 react-hook-form을 다시 한 번 활용하여 구현했다.
  • 백엔드 api를 통하지 않기 때문에, local storage를 활용하여 임시로 로그인을 구현했다.

깃헙 링크
로그인 폼 컴포넌트
회원가입 폼 컴포넌트

지도

지도 생성 / 마커 생성 / 마커 하이라이트 / 지도 이벤트(클릭, 드래그, 줌인아웃 등)

  • Naver Map Ap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기능을 구현했다.
  • 단순히 패키지를 다운받아서 사용한다는 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naver map에 있는 수많은 api 중에서 내가 원하는 api를 찾고 코드 예제를 보면서 직접 내 코드에 적용한다는 점이 어려웠고 재밌었다.

깃헙 링크
지도 관련 컴포넌트
naver map api 관련 유틸 함수

야영장 정보, 내 정보 Drawer

  • drawer는 params를 기반으로 전역 상태가 변경되며 전역 상태에 의해 다른 컴포넌트를 띄우게 했다
  • 동시에 브라우저, 모바일 기기를 감지하고 그에 맞는 컴포넌트와 css가 적용되도록 구현했다.
  • 야영장 정보는 브라우저의 경우 side쪽의 drawer로 모바일의 경우 swipe하여 확장 가능한 컴포넌트로 구현했다.
  • swipe는 touchstart,move,end 이벤트를 활용하여 css를 transition하지 않고 margin을 조절하는 형식으로 간단하게 구현했다. (네이버 지도앱이 이런 방식으로 구현돼있었다.)
  • 야영장 정보는 비동기 작업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react suspense를 활용하여 스켈레톤 UI를 띄웠다.

깃헙 링크
swipe 컴포넌트
swipe touchHandler 함수
drawer 컴포넌트
drawer suspense

검색 기능

깃헙 링크
검색 함수
검색 결과 selector
검색창 컴포넌트

북마크

  • 북마크는 localStorage를 사용하여 value를 객체로 관리했다.
  • 페이지에서 북마크 클릭 시 로컬 스토리지에 값이 저장되며, 로컬 스토리지의 값이 바뀌면 전역 상태에서 북마크 state도 갱신된다.

깃헙 링크
로컬 스토리지 객체 관리

링크 공유

  • 현재 URL를 공유하는 기능이며, window객체의 writeText 메서드를 사용하여 구현했다.
  • 모달창을 직접 구현해보면서 모달 창의 동작 방식을 이해할 수 있었다.

깃헙 링크
클립보드 저장 함수
링크 공유 모달 컴포넌트


회고

  • 이번 프로젝트는 어떤 부분에서는 자신을 얻기도 했고, 자신을 잃기도 했다.
  • 자신을 얻은 부분은 내가 구현하고 싶은 서비스나 기능, 페이지의 모양새가 있다면 그게 무엇이든 어찌저찌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이다.
  • 자신을 잃은 부분은 '과연 내 코드가 옳은 방식으로 짜여져 있을까?'에 대한 의문이다. 요즘 읽고 있는 포스팅은 주로 클린 코드에 대한 내용인데 클린 코드에 정답은 없겠지만 좋은 코드는 어떤 코드일까 계속해서 고민하게 된다.
  • 위 내용의 연장선으로 '과연 나는 내 코드의 동작방식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을까?'라는 의문도 함께 들었다. 물론 javascript에 대한 핵심 개념이라거나 동작 방식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학습하고 이해하고 있지만 react로 넘어와서는 react의 핵심 개념(예를 들어, virtual dom이라거나, state가 변경될 때 렌더링되는 동작 방식 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당연히 충분히 학습하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다.
  • 그래서 당분간은 javascript의 개념을 다시 한 번 살펴보고 주요 라이브러리나 브라우저의 동작 방식에 대해 더 깊게 공부를 해볼 예정이다. 프로젝트의 우선순위는 약간 낮춰야 할 것 같다.

타입스크립트

  • 타입스크립트를 계속해서 학습은 했지만 프로젝트에 적용해보진 않았다. 마냥 거리감이 있어서였는데, 이번 프로젝트를 하면서 타입스크립트를 적용해봐도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 아마 그 거리감은 보통 강의를 듣게 되면, 너무 많은 내용을 한 번에 듣기 때문에 어렵게만 느껴져서인 것 같은데 다음 프로젝트는 간단하게 인터페이스 위주로 적용해볼까 한다. 차근차근 타입의 결합이라거나 다양한 자료형의 적용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다음에는

  • javascript 프로젝트를 해보고 싶다. javascript로 직접 react를 만들어보고 싶다.(비슷하게 라도)
  • 기필코 성능 측정하리라. 성능을 측정해야 내가 뭘 어떻게 개선했는지 눈에 보일 것 같다. 성능 측정에 대한 강의를 들어놔야겠다.
  • 기필코 배포하리라. 이번 프로젝트에는 백엔드 개발자 분이 api를 하나만 만들어놓고 탈주를 해서... 배포까진 가지 못했지만 다음 프로젝트는 서버리스로 프론트엔드에서 배포까지 해버리던지 아니면 끝까지 책임지고 할 수 있는 백엔드 팀원을 모집하던지 해서 세상에 내놓고 싶다.
profile
프론트엔드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