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파일은 모두 .jpg 형식이며 일반쓰레기, 플라스틱, 캔, 유리, 종이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이미지명은 IMG_1 ~ IMG_103으로 작성하였다.
아이폰 12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에 따라 사이즈는 3024X4032로 모두 동일합니다.
국토정보플랫폼을 이용해 위도와 경도를 표기하여 정리하였다.
성북천 하천 부류 쓰레기 사진 103장 중 포함된 횟수
1. 일반쓰레기 - 74
2. 플라스틱 - 17
3. 캔 - 4
4. 유리 - 2
5. 종이 - 12
가공되지 않은 raw data, 데이터셋 압축zip파일, 데이터셋 csv파일로 나누어 총 3가지의 Google Drive 링크를 공유합니다.
- Google Drive raw data 공유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CggShR1Ea4EfCM0XbCKjaXNnDko5tTUx?usp=sharing
<IMG_10까지의 예시>
: 하천 산책로 내 쓰레기통의 최적의 위치
: 성북천 산책로를 걷다 보면 운동기구 및 벤치 등은 잘 구비되어 있지만 쓰레기통은 거의 구비되어 있지 않아 집까지 쓰레기를 가져가야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천 부류 쓰레기들은 '쓰레기통의 부재'로 인하여 생겨난다고 생각한다. 쓰레기 무단 투기는 당연히 금지되어야 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쓰레기통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이 문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쓰레기가 많이 발생하는 위치에 쓰레기통을 설치함으로써 쓰레기 수거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 우선순위 큐 : 입력한 위치(위도&경도)에 따른 쓰레기의 양을 정리하기 위해 우선순위 큐를 사용하고자 한다. 쓰레기 정보가 많은 장소 순으로 데이터를 정리한다.
- 탐색 알고리즘 : 원하는 데이터(ex.쓰레기가 많은 위치)를 찾기 위해서 탐색 알고리즘을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