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ubernetes.io/ko/docs/tasks/tools/included/optional-kubectl-configs-bash-linux/이걸 이제서야 사용하다니...
호스트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보낼때 언제 어떤 데이터를 쪼개는지 헷갈려서 작성한다. process의 socket에서는 stream 형태로 데이터를 넘긴다. 이 때, stream 형태의 데이터가 segment 단위로 쪼개진다. layer 3에서 만들어진 ip 패킷 원하
잊어먹으면 너무 아쉬울 것 같아서 이 글을 작성한다.PC(192.168.8.96)에서 naver.com로 요청을 보내는 상황일 때 PC에서 만들어지는 이더넷 프레임은 어떤 Destination Mac 주소를 가질까?정답은 게이트웨이(192.168.8.1)의 MAC 주소
https://kangwoo.kr/2020/07/26/%EB%8F%84%EC%BB%A4-%EA%B5%AC%EC%A1%B0/
1\. EBS 볼륨 생성2\. 인스턴스에 생성한 EBS 볼륨 attach3\. 생성한 disk(xvdb) 확인4\. ext3로 디스크 포멧5\. mount할 디렉터리 생성6\. 생성한 EBS 볼륨 디스크와 mount (재부팅시, mount 풀림)7\. 마운트 상태 확인
통신 과정pod1의 veth => cali동일 노드 내 pod to pod 통신은 tunl 인터페이스가 관여Xcali통신 과정pod1의 veth => cali- pod에서 외부로 통신시에는 호스트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P 주소로 마스커레이딩(출발지 IP로 변경)되어서
L3 기반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도와주는 CNI 플러그인calico CNI 설치시 calico-node라는 daemonset 생성calico는 etcd, felix, bird, confd로 구성된다. etcd는 k8s control plane의 etcd로 사용되
동일한 네트워크 환경을 공유 한 pod 내부의 컨테이너들은 모두 같은 네트워크 환경을 공유한다. 이는 각 컨테이너들이 동일한 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 안에 속하기 때문이다. 한 pod 내의 컨테이너들은 로컬 호스트를 통해서 네트워크를 공유할 수 있으며, 이 뜻은 서로 동일
Deployment 과 ReplicaSet 무슨 차이? ReplicaSet이 replicas를 조절하면서 pod의 수를 조절하는데 왜 굳이 Deployment를 사용할까? deployment는 pod의 수를 조절하기 위함이 아닌 replicaSet을 버전에 따라 관리하
dockerENTRYPOINT: 컨테이너 내부에서 실행되는 파일CMD: 실행파일에 전달되는 인자K8Scommand: 실행파일에 전달되는 인자args: 컨테이너 내부에서 실행되는 파일파일 시스템을 비어 있지 않은 디렉터리에 마운트할때 발생하며새롭게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의
aws cli는 버전1과 버전2가 있는데,버전 2가 기능이 더 많기 때문에 2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credential은 다음 위치에 저장
AWS에서 여러가지 VPN 서비스를 제공하겠지만, 주로 많이 사용되는 VPN 연결 옵션이 크게 두 가지 있는 것 같다. Site to Site VPNclient VPN VPC와 외부 IDC 네트워크망이 VPN으로 연결되어 사용하는 방식VPC와 원격 네트워크 사이에 IP
컨테이너 런타임에 대한 표준으로 컨테이너를 실행하기 위한 저수준 런타임쿠버네티스 측에서 제공하는 컨테이너 런타임 추상화 계층컨테이너 런타임은 크게 저수준 런타임과 고수준 런타임으로 나뉜다.저수준 런타임namespace와 cgroup을 이용해서 컨테이너 자체를 만드는 일
다음과 같이 systemctl status kubelet을 통해서 kubelet의 상태를 확인해보면 Drop-in에 10-kubeadm.conf라는 파일이 존재한다. 이 파일의 용도가 궁금해져서 이를 글로 남겨 둔다. kubeadm init을 통해서 kubelet을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