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캐릭터를 4가지 명령어를 통해 움직이려 합니다.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U: 위쪽으로 한 칸 가기
∙ D: 아래쪽으로 한 칸 가기
∙ R: 오른쪽으로 한 칸 가기
∙ L: 왼쪽으로 한 칸 가기
캐릭터는 좌표평면의 (0, 0) 위치에서 시작합니다. 좌표평면의 경계는 왼쪽 위(-5, 5), 왼쪽 아래(-5, -5), 오른쪽 위(5, 5), 오른쪽 아래(5, -5)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ULURRDLLU로 명령했다면
∙ 1번 명령어부터 7번 명령어까지 다음과 같이 움직입니다.
∙ 8번 명령어부터 9번 명령어까지 다음과 같이 움직입니다.
이때, 우리는 게임 캐릭터가 지나간 길 중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를 구하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위의 예시에서 게임 캐릭터가 움직인 길이는 9이지만,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는 7이 됩니다. (8, 9번 명령어에서 움직인 길은 2, 3번 명령어에서 이미 거쳐 간 길입니다)
단, 좌표평면의 경계를 넘어가는 명령어는 무시합니다.
예를 들어, LULLLLLLU로 명령했다면
∙ 1번 명령어부터 6번 명령어대로 움직인 후, 7, 8번 명령어는 무시합니다. 다시 9번 명령어대로 움직입니다.
이때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는 7이 됩니다.
명령어가 매개변수 dirs로 주어질 때, 게임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를 구하여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 dirs는 string형으로 주어지며, 'U', 'D', 'R', 'L' 이외에 문자는 주어지지 않습니다.
∙ dirs의 길이는 5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function solution(dirs) {
let answer = new Set();
let i = 0;
let current = [0, 0];
dirs = dirs.split('');
// dirs = [...dirs];
while(i < dirs.length){
const previous = [...current];
const next = current;
if(dirs[i] === 'L'){
current[0] === -5 ? next[0] : next[0] -= 1;
}else if(dirs[i] === 'R'){
current[0] === 5 ? next[0] : next[0] += 1;
}else if(dirs[i] === 'U'){
current[1] === 5 ? next[1] : next[1] += 1;
}else{
current[1] === -5 ? next[1] : next[1] -= 1;
}
const path = [`${previous[0]}${previous[1]}`,`${next[0]}${next[1]}`].sort();
answer.add(path.join('->'));
i++;
}
return [...answer].map( v => v.split('->')).filter( value => value[0] !== value[1] ).length;
}
기존에 방문했던 경로 체크 + 제한구역을 벗어난 경로 제외라는 방향으로 잘 설정했는데 방문여부에서 살짝 애를 먹었던 것 같다. 일례로 (2, 1) -> (1, 1) / (1,1) -> (2, 1)은 같은 경로이기 때문에 answer(set 자료형)에 넣을 때 정렬해서 넣어야 하나의 케이스로 볼 수 있다.
+) dirs = [...dirs]처럼 전개연산자로 문자열을 바로 배열처럼 쓸 수 있다. 평소 쓰던 dirs = dirs.split('')와 같다.
+) set 자료형에서 배열값이 [1, 2]가 두 개 들어가면 중복이 아닌 걸로 인식해서 모두 포함된다. 따라서 숫자형이나 문자형으로 변환해서 set에 넣어야 한다.
+) Python Version
def solution(dirs):
command = {'U' : (0, 1), 'D' : (0, -1), 'L' : (-1, 0), 'R' : (1, 0)}
road = set()
currentX, currentY = 0, 0 # 좌표 초기화
for d in dirs:
nextX = currentX + command[d][0]
nextY = currentY + command[d][1]
if (-5 <= nextX <= 5) and (-5 <= nextY <= 5):
road.add((currentX, currentY, nextX, nextY)) # 현재 위치 -> 다음 위치
road.add((nextX, nextY, currentX, currentY)) # 다음 위치 -> 현재 위치
currentX = nextX
currentY = nextY
# set을 통해 한 번 지나친 길을 왕복으로 넣어서 다음번 경로의 중복을 막는다.
return len(road) // 2
참고: https://woomin.netlify.app/TDD/2020/08/2020-08-22-tdd/
https://velog.io/@tjdud0123/방문-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