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JSP
🛑JSP(JavaServer Page)란?
JSP란 JavaServer Page 의 약자이며
HTML코드에 JAVA 코드를 넣어 동적 웹피이지를 생성하는 웹어플리케이션 도구이다.
JSP가 실행되면 자바 서블릿(servlet)로 변환되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동작되면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그렇게 생성된 데이터를 웹페이지와 함께 클라이언트로 응답한다.

❗ 웹프로그램?
웹이란 인터넷 기반의 정보기술로 world wide web의 줄임말로 쓰이며 www라고도 한다.
전세계에 거대한 네트워크 망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며 정보의 흐름은 양방향성을 가진다.
❗ 웹 어플리케이션
웹 어플리케이션은 웹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뜻하며 여러 서비스를 총칭하며 사용자가 필요한 요청을 하고 서버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요청을 수행하고 그리고 요청(Request)한 데이터를 응답(Response)한다.
-
웹 브라우저(Web Browser) :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을 하고 전달받은 페이지를 볼수있는 환경을 말한다. ( 크롬, IE, Safari, Firefox 등.. )
-
웹 서버(Web Server) : 클라이언트로 부터 요청받아 서버에 저장된 리소스를 클라이언트 에게 전달한다. 주로 정적컨텐츠롤 담당한다.
-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 Web Application Server ) : 줄여서 was 라고도 부르며 서버단에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그결과를 웹서버에게 전달한다.
-
데이터베이스 :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보관, 갱신 등 관리를 한다.
출처: https://javacpro.tistory.com/43 [버물리의 IT공부:티스토리]
❗ 서블릿(servlet)
- 자바에서 사용하여 웹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다.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을 시킨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이다.
❗ 웹 컨테이너(web container)
- 웹 서버가 보낸 jsp, php 등의 파일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다시 웹서버로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 정적 웹 페이지(static web pages)
- 정적 웹 페이즈는 언제 접속해도 같은 응답을 보내준다.
- html, css, js 파일이 서버에 업로드 되면, 개발자가 수정하기 전까지 매번 같은 파일을 브라우저에게 건네준다.
- 즉, 웹 서버가 정적 웹피이지에 대한 요청을 받은 경우 서버는 추가적인 처리 과정 없이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보냅니다.
- 예를 들어 회사나 개인의 소개 페이지가 정적 웹 페이지의 좋은 예시이다.
❗ 동적 웹 페이지(dynamic web pages)
- 웹 서버가 동적 웹 페이지에 대한 요청을 받은 경우 서버는 추가적인 처리 과정 이후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보낸다.
- 동적 페이지는 방문자와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페이지 내용은 그때그때 다르다.
- 댓글, 날씨, 주가 정보 등 과 같이 정보 변경이 잦은 곳에 많이 사용된다.
❗ 웹호스팅이란?
- 인터넷상의 공간을 임대해 주는 서비스이다.
- 만든 홈페이지를 pc에만 저장해 놓으면 인터넷사에서 누구나 볼수 없다.
- 웹서버의 일부공간을 할당받아, 그곳에 홈페이지 자료를 올려놓으면 누구나 인터넷상으로 해당 페이지를 볼 수 있다.
JSP를 배우며 따로 추가할 사항 있으면 추가해야 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