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계층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통신하는 구조를 독립된 7계층으로 분리하여 각 계층의 동작방식을 정의한 모델입니다.
애플리케이션, 표현, 세션, 전송, 네트워크, 데이터 링크, 물리 계층이 있습니다.
계층을 분리함으로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만약, 7계층에서 문제가 생겼다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검사하지 않고 7계층만 수정하면 된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OSI 7계층 - 네트워크 동작을 나누어 이해하고 개발하는 데 많이 도움이 되므로 네트워크의 주요 참조 모델로 활용됩니다. (이론적)
하지만, 실제 사용되는 대부분의 프로토콜이 TCP/IP 프로토콜 스택 기반으로 활용됩니다. (실사용)
장비를 통해 전기 신호를 전송합니다.
주소 개념이 없습니다.
주소 개념이 없기 때문에 허브는 전기 신호가 들어온 포트를 제외한 모든 포트에 신호를 보냅니다. 이러한 비효율성 때문에 요즘은 허브를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2계층 부터는 MAC 주소가 활용되며 목적지의 MAC주소로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스위치가 사용됩니다.
bit
전기신호를 데이터로 변경합니다.
MAC 주소를 통해 출발지와 도착지의 주소를 확인합니다.
에러 탐지, 플로우 컨트롤(받는 사람이 데이터 받을 수 있는 지 확인) 수행
MAC 주소
참고 - 랜카드에는 고유한 MAC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frame
최적의 경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라우팅 수행
IP 주소
packet
데이터들이 정상적으로 잘 보내지도록 확인하는 역할
유실 패킷 재전송 요청, 순서 변경 바로잡음, 주소로 포트 번호 사용
세션 생성 및 삭제, 에러로 중단 통신 복구 및 재전송
인코딩, 암호화 압축, 코드 변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수행